경륜 경주 장면. /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경륜 시즌 초반 판세 예측이 난망하다. 특히 기량 차이가 크지 않은 선발과 우수급에서 강급자들과 신인들이 한꺼번에 출전하다 보니 예측이 쉽지 않다. 강급자들은 인지도를 앞세우나 기존 강자들과 신인들의 눈치를 살펴야 하기 때문에 경주 운영에 어렴움을 겪는다. ◆선발급 강급자 중 '믿을맨'은
선발급에서 눈에 띄는 선수는 단연 김형모(14기·34)다. 김형모는 장기 결장으로 선발급까지 강급되는 수모를 겪었으나 5회차까지 6연승을 기록하며 여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12일 창원 선발결승전에서 선행 강자인 김민준을 여유 있게 추입에 성공하며 우승을 차지, 다음 회차엔 특별승급까지 노려볼 수 있는 상황을 만들었다. 이진영(19기·30)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올 시즌 첫 출전이던 광명 1회차에선 신인들에게 밀려 연속입상을 이어가지 못하다가 4회차인 지난 5일 광명 선발결승에서 선행 승부로 경쟁자들을 따돌리고 연속입상 행진에 성공했다.
하지만 강급자 중 선행형이나 우수급에서도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는 선수들을 제외한, 추입형들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특히 추입 강자로 활약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정성기는 6번 출전 중 1번 3착한 것을 제외하곤 모두 착외에 그쳐 팬들의 원성을 샀다. 이외에 현병철, 정영훈, 김선우, 유주현 등도 우승을 기록하지 못할 만큼 추입형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우수급은 누굴 믿어야 하나
우수급에서도 자력형들이 힘을 내고 있다. 한때 특선급에서 추입 강자로 활약했던 김동관(13기·32)은 우수급 강급이후 6연속 입상에 성공한 상태다. 늘 지적 받았던 전법적인 한계를 탈피하고 다양한 전법을 구사하며 여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종근(20기·26)과 박성근(13기·37)도 꾸준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최종근은 첫 회차 결승전에서 3착한 것 이외에는 선행, 추입으로 강자의 면모를 과시 중이다. 박성근도 지난 5일 광명 우수급 결승전에서 3착한 것 외엔 시속면에서 여유 있는 모습을 보여 빠른 시일내에 다시 특선급으로 복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이승철, 김우현, 최병일 등도 자력승부를 기반으로 꾸준한 성적을 거두고 있어 '믿을맨'으로서 눈여겨볼 만하다.
◆신인과 강급자가 만나면
아무래도 신인들이 패기 있게 경기를 풀어가고 강급자에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평이다. 특히 광명 5회차 선발결승전에선 강축으로 나섰던 고종인을 젖히기로 넘어서며 우승을 차지한 김제영의 활약이 눈에 띄었다. 대부분의 경주에서 신인선수를 활용했던 선수들이 우승을 차지했다는 점에서 향후 판도 역시 신인들에 의해 좌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때문에 신인과 연대하는 강급자는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어 주목할 만하다.
명품경륜승부사 이정구 수석기자는 "강급자들 중 추입에 의존하는 선수들보다는 선행, 젖히기형 선수들을 '믿을맨'으로 보는 것이 맞다. 또 체력적으로 우위를 보일 수 있는 신인들의 강세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회차를 거듭할수록 강급자들이 체력을 획복하면서 노련미를 구가할 가능성이 큰 만큼 판세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