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JTBC. 사진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임한별 기자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어제(27일) JTBC '뉴스룸'에 출연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JTBC '뉴스룸'에 출연, "야당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 박영수 특별검사팀 수사기간 연장에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국민의당이 '선총리 교체, 후탄핵 추진'을 했어야 하는데, 민주당의 문 전 대표에게 영향을 받은 미온적 태도 때문에 이 같은 단계가 성사되지 못했다고 지적한 데 대해 반박했다.
그는 "그때 선총리 선출은 탄핵을 회피하기 위한 꼼수로 주장된 것이었다"며 "야당이 그 제안을 받아 총리 인선 절차로 갔거나 누가 총리로 적임자인지 논란이 있었다면 탄핵 열차는 탈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이 이날 황 대행에 대한 탄핵안 발의를 합의한 데 대해서는 "탄핵 사유가 충분하다고 보고 지지한다"며 "황 대행이 (대선에) 출마할 가능성도 있다. 지금 행보를 보면 출마를 염두한 행보도 있고 이번 특검 문제도 그 일환일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기각이든 인용이든 정치인들은 그 결정에 승복해야 한다"며 앞서 기각되면 혁명이라는 발언을 한 데 대해서는 "국민의 압도적 탄핵 민심과 동떨어져 국민이 승복할 것인가, 오히려 국민이 더 크게 분노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당내 경선 토론회가 열리는 데 후보들 가운데 가장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받는 데 대해서는 "탄핵에 전념할 시기에 우리끼리 경선을 위한 토론은 국민이 바라는 바가 아니다"라며 "또 토론이 되려면 서로 정책들을 좀 제시해야 하는데, 나는 여러 차례 정책을 제시했지만 아직 (다른) 후보들이 정책을 내놓은 상황이 아니라서 토론이 이른 면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정한 것 외에도 이렇게 저렇게 초청하는 것이 있고 (그런 것은) 거부할 수 없는 것"이라며 "중간중간 끼어드는 (토론회가) 있어 실제 횟수는 (총 10회보다) 많아진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정책공간 국민성장'(문 전 대표 싱크탱크)에 속한 인사들이 900명이 되는 등 현실적으로 다 빚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 정도도 부족하고 더 많은 인재 풀을 넓혀 1만명 정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앞으로 인사 검증을 하면 탕평 인사 원칙이 지켜져야 하고 보수와 진보를 넘는 통합적 인사가 돼야 할 것"이라며 "그러려면 폭넓은 인재 풀이 필요하다. 과거 경험을 말하면 참여정부는 10만명 정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려 했는데 8만명 정도에서 넘어간 이명박정부에서 중앙인사정보를 거의 폐기 처분해 지금 사사로운 인사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현재 정책 방향을 어떻게 결정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국민성장에서 준비를 하고 선대위 정책본부가 다시 한 번 정치적 판단을 해 나와 조율해 발표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민성장 등에서 나온 정책이 문 전 대표와 생각이 다를 수 있지 않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마지막에 내가 점검하면 결국 나의 정책이다. 그 분들이 자신의 생각을 100% 받아달라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상당 부분을 받아들이면 좋은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