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CSP 슬라브 입고식 현장 /사진=박찬규 기자
동국제강의 숙원사업이 해결됐다. 브라질 CSP제철소의 슬래브 5만8751톤이 국내에 들어오며 1954년 설립 이후 63년 만에 첫 자체 고로 생산 슬래브를 사용하게 된 것.
22일 동국제강은 당진공장에서 브라질 CSP 슬래브 입고 기념식을 개최하며 2005년부터 이어온 글로벌 장기 프로젝트를 마무리지었다. 이날 입고식에는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과 에듀하르도 파헨테 CSP CEO를 포함해 고객사와 관계사 경영진 50여명이 참석했다.
브라질 CSP는 총 55억 달러가 투자된 한국과 브라질 경제 협력의 상징이며 브라질 북동부 쎄아라주 뻬셍 산업단지에 건설된 연산 300만톤급 제철소다.
동국제강(30%)이 기획하고 세계 최대 철광석 회사인 브라질 발레(50%)와 포스코(20%)가 합작한 CSP 제철소는 브라질 북동부 지역 최대 외자유치 사업으로서 북동부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국책사업이다.
이날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은 “지금 눈앞에 있는 슬래브는 동국제강의 꿈과 도전이 담긴 대장정의 화룡점정”이라며 “한국과 브라질의 경제 협력 역사에도 기념비적으로 기록될 이 날을 위해 애써준 임직원과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CSP제철소는 2012년 착공을 시작으로 약 4년에 걸친 공사를 마무리, 지난해 6월10일 화입식에 이어 이틀 뒤인 12일에는 성공적인 첫 출선을 했다.
일반적으로 화입 이후 6개월 이상 걸리는 상업생산 시기를 3개월 이상 단축시킨 CSP제철소는 2월말 기준으로 140만톤 생산과 124만톤 이상의 슬래브 판매를 기록하며 글로벌 고로 메이커로서 안정적인 기반을 다졌다.
동국제강은 이번에 입고되는 5만8751톤을 시작으로 5월에 2만톤 등 순차적으로 올해 당진공장에 총 25만~30만톤을 들여올 예정이다. 내년에는 최대 60만톤까지 늘린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참석자들은 CSP제철소 사업의 진행역사와 슬래브의 국내입고과정이 담긴 영상을 시청하고 당진공장의 후판 생산 라인을 견학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