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서비스를 도입, 공공주택지구를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시티로 탄생시킨다고 밝혔다.
스마트시티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비효율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자연친화적 기술과 ICT 기술을 융·복합하고 교통혼잡, 실업, 범죄, 에너지부족 등 다양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모색하는 미래도시다.
LH는 동탄2신도시, 세종, 판교, 평택고덕 4개 지구에 실증단지를 추진 중이다. 지난해 12월 지정된 고양장항지구는 청년타운을 콘셉트로 하는 스마트시티로 조성한다.
스마트시티는 행복주택 등 다양한 주거와 산업·교육·문화를 복합한 도시로 해외수출이 가능할 전망다. 조현태 LH 도시환경본부장은 "소규모 공공주택지구에도 스마트시티를 전격 도입할 계획"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신성장동력으로서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고 입주민의 삶을 더 편리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