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들의 자녀 교육 참여 시간은 일주일 평균 2시간 6분으로, 엄마 교육 참여 시간의 약 1/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윤선생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3월 8일부터 3월 13일까지 자녀를 둔 학부모 59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에 따르면 아빠들 중 50.8%가 자녀의 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들의 참여 시간(일주일 평균)은 2시간 6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아빠는 자녀의 교육(복수응답)에서 ‘밥상머리교육과 같은 인성 교육’(52.2%) 부분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놀이 활동(50.5%), ‘책 읽어 주기’(34.2%), ‘체험학습∙견학 등의 야외활동’(29.6%), ‘각종 숙제 검사’(19.9%), ‘유치원·어린이집 및 학교의 교과 과정 내용 지도’(1.0%) 순으로 응답했다.
엄마의 자녀 교육(복수응답)에서는 ‘각종 숙제 검사’(62.8%) 부분의 참여도가 높았다. 이어 ‘유치원·어린이집 및 학교의 교과 과정 내용 지도’(49.8%), ‘밥상머리교육과 같은 인성 교육’(48.5%), ‘책 읽어 주기’(46.8%), ‘체험학습·견학 등의 야외활동’(42.5%), ‘놀이 활동’(38.9%) 등으로 응답했다.
부모의 자녀 교육 참여 시간을 비교해 본 결과 아빠는 일주일 평균 2시간 6분, 엄마는 일주일 평균 6시간 7분으로 엄마가 아빠보다 3배 정도 더 많은 시간을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학부모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아빠의 교육 참여 시간(일주일 평균)은 5시간 4분으로 실제 참여시간과 3시간 가량 차이를 보였다.
또 아빠의 교육에 대한 자녀의 만족도는 평균 3.3점(5점 만점 기준)으로 조사됐다. ‘보통’(59.8%)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만족’(27.2%), ‘매우 만족’(7.0%), ‘불만족’(4.3%), ‘매우 불만족’(1.7%) 순의 의견이었다.
아빠의 교육 참여가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는지를 묻자 학부모의 96.0%는 ‘그렇다’고 답했다.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부분(복수응답)으로는 ‘아빠와의 애착관계 형성’(69.8%)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자녀의 정서 발달 및 안정’(58.5%), ‘사회성 증대 효과’(48.2%), ‘자녀의 지능 발달’(46.8), ‘자녀의 신체 발달’(25.6%) 순이었다.
학부모의 64.5%는 교육관 차이로 엄마와 아빠 사이에 트러블이 있었다고 응답했으며, 문제가 있을 때 주로 ‘절충해서’(41.2%) 자녀를 교육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엄마’의 의견을 따라갔다는 답변은 36.6%, ‘아빠’의 의견을 따라갔다는 답변은 22.2%였다.
한편, 아빠가 자녀 교육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49.2%의 학부모들은 그 이유(복수응답)로 ‘야근, 회식 등 회사 업무로 시간이 부족해서’(58.9%)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본인이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어서’(33.6%), ‘자녀 육아 및 교육에 대한 방법을 잘 몰라서’(29.8%), ‘교육이 엄마의 몫이라고 생각해서’(23.6%), ‘자녀가 거부해서’(1.0%) 순으로 답했다.
학부모들은 아빠의 교육 참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복수응답)로 ‘본인의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66.6%)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야근·회식 강요 없는 회사 분위기’(44.2%), ‘아빠의 교육 참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39.8%), ‘탄력 근무제 같은 회사 제도’(23.8%), ‘자녀의 교육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23.1%), ‘자녀 교육을 위한 부모 대상 프로그램 확대’(18.7%), ‘출산 휴가·육아 휴직 의무화’(17.4%) 순으로 응답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