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육상이송. 세월호 육상 거치 전 운송 장비인 모듈 트랜스포터를 이용해 선체를 들어 올려보는 1차 시험 운용이 실패했다. /사진=뉴스1
세월호 육상이송을 위한 1차 테스트가 실패했다. 이철조 세월호 현장수습본부장은 6일 전남 목포신항 취재지원센터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시운전 결과 세월호가 뜬 것으로 확인했으나 일부 갑판 층 리프팅 빔이 들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1차 테스트를 통해 전부는 아니나 상당히 근접한 수준까지 부양에 성공했다는 걸 확인했다"면서 "다만 야간에 육안으로 정확한 확인이 어렵고 기상도 좋지 않아 선체와 리프팅 빔 상태 등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지난 5일 오후 7시40분부터 특수운송장비인 ‘모듈 트랜스포터’(Module Transporter) 480대를 실제 세월호 선체 하부에 진입시켜 하중 부하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세월호 선체의 중간 부분은 부양이 이뤄졌지만, 일부 선미와 선수 부분에서 부양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본부장은 “일부 갑판 측 1~5번 리프팅빔, 21~27번 리프팅빔은 부양이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전날 작업이 야간에 이뤄져 정확한 세월호의 부양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만큼, 해수부는 오늘 추가 보완 테스트를 통해 육상 이동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해수부는 테스트를 통해 모듈 트랜스포터가 세월호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올 경우 세월호를 육상으로 거치하는 작업을 6일 오전 본격 시작해 오후에는 거치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었다.
이와 관련해 해수부 관계자는 "보완책을 마련해 6일 오전부터 다시 세월호 선체를 들어올리는 테스트 작업이 시작되면 아무래도 육상거치가 다소 늦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