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근로자 연봉은 지난 10년간 21% 인상된 반면 이들이 낸 근로소득세는 75%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18일) 한국납세자연맹(회장 김선택)은 결정세액이 없는 면세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소득세 과세자의 임금총액은 2006년 249조4766억원에서 2015년 449조7351억원으로 80%(200조2583억원) 인상된 반면 근로소득세 결정세액은 11조5664억원에서 28조2528억원으로 144%(16조6864억) 증가했다고 밝혔다.
결정세액은 산출세액에서 각종 세액공제액과 감면세액을 제외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근로자가 납부하는 세금을 말한다.

지난 10년간 근로소득세 과세자 인원은 662만명에서 923만명으로 261만명(39%) 증가했다. 근로자가 총급여에서 실질적으로 납부하는 결정세액의 비율인 실효세율은 2006년 4.3%에서 2015년 6.2%로 1.9%포인트 증가했다.


납세자연맹은 정부가 소득세율을 2009년과 2010년 두 차례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임금인상률보다 근로소득세 인상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복지재원 마련을 위한 ▲장기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등 폐지 ▲소득공제 신설 억제 ▲2014년 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 ▲2012년 3억초과 38% 최고구간 신설 ▲2014년 3억 초과 최고구간을 1.5억 초과로 낮추는 세법 개정 등 다양한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연맹은 특히 “임금인상률보다 근로소득세 인상률이 높은 주된 원인은 ‘냉혹한 누진세’ 효과 때문”이라며 “냉혹한 누진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 등 19개국에서 시행중인 물가연동세제를 도입해 과세표준을 물가에 연동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에서 ‘냉혹한 누진세’는 주요한 세금논쟁 중 하나다.

‘냉혹한 누진세’란 소득세 인상이 물가인상을 감안한 실질임금인상분이 아닌 명목임금인상분에 대해 증세가 되기 때문에 실질임금인상이 제로이거나 마이너스인 경우에도 소득세가 증가하고, 명목임금인상으로 과세표준 누진세율구간이 상승하게 되면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되어 근로자의 실질임금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납세자연맹 김선택 회장은 “지난 10년간 근로소득자들은 임금인상률보다 3.6배 높은 근로소득세와 1인 평균 132만원에서 247만원으로 87%나 인상된 직장건강보험료를 납부했다”며 “정치인은 부자증세를 외치지만 지하경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유리지갑인 근로자들이 실제로 더 많은 복지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강조했다.

연맹에 따르면 물가에 연동해 세금을 부과하는 나라는 네덜란드, 미국, 덴마크, 영국, 노르웨이 등 19개국이며 물가를 감안하지 않고 세율을 적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독일, 그리스 등 15개국이 있다.

이에 김 회장은 "누진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 등 19개국에서 시행중인 물가연동세제를 도입해 과세표준을 물가에 연동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