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전/사진=이미지투데이
5월 첫주, 황금연휴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여행객이라면 환전을 할지, 카드를 가져가야 할지 고민이 따른다. 알뜰한 환전, 카드 사용방법을 알아보자.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으로 여행할 경우 주요국 화폐는 한국에서 환전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면 환전 수수료가 3%가 넘는 국가면 현지에서 카드로 결제하는 편이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KEB하나은행의 178회차 고시를 기준으로 적용하면 1달러는 1134.5원이다. 일반 은행에 가서 원화로 바꾸면 약 1.75%의 환전수수료가 붙어 1달러를 1154.35원에 사야 한다. 1000 달러를 바꾸면 115만4350원이 필요해 환전수수료로 1만9850원(115만4350원~113만4500원)이 들어간다.

그러나 신한은행의 써니뱅크나 우리은행의 위비뱅크 등 은행 앱을 이용하면 최대 90%의 환전수수료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환전수수료가 1985원으로 크게 줄어 1000 달러를 쓰기 위해 113만6485원만 있으면 된다.


반면 환전을 하지 않고 신용카드를 들고 가 미국에서 결제하면 환율은 전신환 환율이라 불리는 송금 환율이 적용된다. 송금 환율은 1달러에 1145.60원으로 환전수수료가 1%가 채 안 된다.

그러나 해외에서 신용카드를 쓰면 1%의 국제브랜드 수수료(비자, 마스터 카드 기준)와 약 0.2%의 해외 서비스 수수료가 포함된다.

미국에서 1000 달러를 신용카드로 긁었다면 1000 달러에 1%의 국제브랜드 수수료가 붙어 1010달러를 쓴 것이 되고 여기에 송금 환율(1145.6원)을 적용한 뒤 해외 서비스 수수료 0.2%를 붙이면 약 115만9400원이 들어간다. 한국에서 환전했을 때보다 약 2만3000원 정도가 더 들어가는 것이다.


필리핀으로 여행을 간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앞의 기준을 적용하면 21일 현재 필리핀 페소에 대한 매매기준율은 1페소당 22.83원이다.

그러나 환전수수료율은 9.0%라서 한국에서 1만 페소를 사려면 24만8800원이 내야 한다. 은행 앱을 활용해 30% 수수료 할인을 받아도 1만 페소를 쓰려면 24만2700원이 필요해 환전수수료가 1만4400원이나 붙는 것이다.

반면 신용카드로 1만페소를 결제하면 페소를 달러로 바꾼 뒤(수수료 0.5%) 해외 브랜드 수수료(1%)를 붙이고 여기에 다시 환전 수수료(송금 기준, 1%)와 카드사 해외 서비스 수수료(0.2%)를 붙여 총 2.7%의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1만 페소를 쓰면 약 23만1900원이 청구되기 때문에 환전했을 때보다 1만1800원 정도 환전수수료를 아낄 수 있다. 신용카드를 쓰면 각종 포인트나 캐시백 서비스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환전수수료율은 은행 홈페이지나 금융소비자 정보 포털 '파인',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며 "여행지에서 카드를 쓸지, 환전을 해서 여행국 화폐를 써야 할지 미리 알아보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