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룡·최영준 중앙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팀이 국내 최초로 3D 프린팅 기술로 만든 인공 광대뼈를 환자에게 이식하는데 성공했다. /사진=뉴스1

중앙대학교병원이 국내 최초로 3D 프린팅 기술로 만든 인공 광대뼈를 환자에게 이식하는데 성공했다. 인공 광대뼈는 바이오세라믹 소재로 알려졌다.
이의룡·최영준 중앙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팀은 오늘(28일) 광대뼈가 없어진 성인 환자에게 인공 광대뼈를 이식한 결과 별다른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인공 광대뼈는 바이오 벤처기업 시지바이오가 내구성이 뛰어난 '쾌속조형재료의 강도예측모델'(FDM) 방식으로 제작했다.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면 수술 시간을 줄이고 환자가 몸속의 다른 뼈를 잘라내 광대에 이식하는 부담이 사라진다.


이 교수는 "바이오세라믹은 뼈와 성분이 유사해 수술 뒤 부작용이 생기지 않는다"며 "환자 맞춤형으로 신속한 수술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최 교수팀은 지난해 티타늄 소재를 활용한 3D 프린팅 인공턱 재건 수술에도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