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지난 4일 코스피는 종가 기준 2241.24로 2011년 5월2일 기록한 역대 최고치인 2228.96을 훌쩍 뛰어넘었다. 국내 대기업들의 수출 호조로 실적이 급상승할 것이란 기대가 투자심리를 끌어올렸다. 6년 만에 역대 최고치를 넘어선 만큼 앞으로 펼쳐질 강세장이 기대된다.

코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코스피와 대조된다. 지난 4일 코스닥은 635.11로 장을 마쳤다. 벤처열풍이 불던 2000년 3월10일 기록한 역대 최고치 2834.40을 따라잡는 건 불가능해 보인다. 외국인투자자가 코스피로 몰리면서 코스닥의 자금 이탈현상이 좀처럼 멈추지 않는다.


코스닥종목을 매도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코스닥기업들의 올 1분기 총 영업이익 시장예상치는 지난 3월 말 기준 1조5500억원에서 지난달 1조5300원으로 하향됐다. 코스닥기업의 매력이 떨어지니 투자금 이탈은 당연한 수순이다.

코스닥시장은 덩치도 작아지고 있다. 네이버와 엔씨소프트 등 대표주는 이미 코스닥시장에서 떠났다. 코스닥 시가총액 1위인 셀트리온은 최근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시가총액 2위인 카카오는 코스피 이전 상장을 추진 중이라 연쇄 대형주 이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코스닥시장의 성장을 위한 실마리를 벤처와 스타트업기업에서 찾아야 한다.

새 정부 이후 코스닥이 상승세를 탈 수도 있다. 새 정부가 내세우는 벤처와 스타트업 활성화 정책이 효과를 제대로 발휘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코스닥이 과연 유리한 입지까지 무난하게 올라설 수 있을까. 2000년대 벤처열풍 이후 정부가 내세운 육성정책으로 벤처와 스타트업 활성화가 이뤄진 적이 있었던가.


과거 박근혜정부는 창조경제를 정권 기조로 삼고 벤처 붐을 독려했다. 전국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립하고 대기업을 통한 벤처기업 지원을 유도했다. 그 결과 민간은 자율성을 빼앗겼고 오히려 역동성이 위축됐다. 이명박정부 때는 정보통신부를 없애고 잠재적 투자자를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많은 코스닥기업을 상장 폐지시켰다.

그래도 다시 한번 정부에 기대를 건다. 새 정부는 코스닥기업의 활약을 위해 벤처와 스타트업을 육성해야 한다. 또 코스닥기업을 키우려면 최대한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 민간자금이 벤처나 스타트업에 자율적으로 흘러들어가는 환경과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정부가 민간이 하지 않는 소재나 투자회수기간이 긴 중장기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것도 방법이다. 실효성 있는 정책과 세부계획을 마련하되 민간기업의 자율성을 빼앗는 대책이어선 안된다. 그동안 대통령 임기 말에 유명무실해지고 정권이 바뀌면 폐기되던 벤처·스타트업 육성정책이 더 이상 반복되면 안된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8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