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인 가구. 사진은 경기 남양주경찰서가 여성 1인 가구 대상 범죄와 빈집 침입 절도 예방을 위해 운영하는 스마트 여성안심스위치. /사진=남양주경찰서 제공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여성 1인 가구의 생활' 자료를 보면 2016년 여성 1인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56.9%가 100만원 미만이며, 남성 1인 가구의 100만원 미만 비율(29.5%)보다 약 1.9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60세 이상의 여성 1인 가구는 100만원 미만 비율이 80.2%였다.
소득별 여성 1인 가구 비율은 100만~200만원 미만 25.7%, 200만~300만원 미만 9.5%, 300만원 이상 7.9%로 소득이 높아질수록 비율이 낮아졌으나 소득별 남성 1인 가구 비율은 구간별로 비슷한 분포를 나타냈다.
주거 형태를 보면 2015년 기준 여성 1인 가구는 자신의 집에 사는 사람이 43.4%로 가장 많았고 보증금 있는 월세(30.9%), 전세(15.5%) 순이었다.
여성 1인 가구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신의 집에 사는 사람의 비율도 증가하는 반면 월세에 사는 사람의 비율은 감소했다. 주택의 형태는 단독주택에 50.4%, 아파트에 30.9%, 연립·다세대 주택에 10.4%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별 여성 1인 가구 비율은 100만~200만원 미만 25.7%, 200만~300만원 미만 9.5%, 300만원 이상 7.9%로 소득이 높아질수록 비율이 낮아졌으나 소득별 남성 1인 가구 비율은 구간별로 비슷한 분포를 나타냈다.
주거 형태를 보면 2015년 기준 여성 1인 가구는 자신의 집에 사는 사람이 43.4%로 가장 많았고 보증금 있는 월세(30.9%), 전세(15.5%) 순이었다.
여성 1인 가구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신의 집에 사는 사람의 비율도 증가하는 반면 월세에 사는 사람의 비율은 감소했다. 주택의 형태는 단독주택에 50.4%, 아파트에 30.9%, 연립·다세대 주택에 10.4%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전반의 안전에 대해 여성 1인 가구의 46.2%가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13.0%가 안전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가장 주된 불안 요인으로 37.2%는 범죄 발생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국가안보(16.9%), 경제적 위험(11.1%)이라고 응답했다. 남성 1인 가구는 국가안보(21.5%), 경제적 위험(18.7%), 범죄발생(17.7%) 순이었다.
2015년 우리나라 총 1인 가구는 520만3000가구이며, 이 중 여성 1인 가구는 261만가구로 50.2%를 차지했다. 이는 5년 전(2010년)보다 17.7% 증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남성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다. 20년 전(1995년) 여성 1인 가구의 비율은 56.7%로 남성 1인 가구(43.3%)보다 13.4%포인트 높았지만, 2015년에는 그 비율의 차이가 0.4%포인트로 감소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