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모 치킨 가맹본부 대표의 도덕적 헤이로 발생한 성추행 논란이 이슈가 되었다. 명백한 오너 리스크이자 성공한 사회 지도층의 모럴 헤저드의 단면을 그대로 되풀이 한 안타까운 사건이다. 그런데 지역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는 가맹점이 단지 그 브랜드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 때문에 매출하락의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 브랜드가 없어져야 한다는 말도 떠돈다. 오너 리스크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추락은 오너의 책임이 명백하다. 분명히 법적 도의적 책임을 져야함은 물론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단지 프랜차이즈 기업의 오너라하여 과도한 여론 재판식 처벌은 문제가 있다.
▲ 사진=임한별기자
또한 오너 개인의 일탈과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별개로 접근해야 애꿎은 가맹점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마녀사냥식 몰이는 가맹점의 2차 피해를 양산한다. 을의 눈물을 닦아주는 것이 아니라 을이 더 눈물을 흘리게 하는 역효과를 촉진하고 만다.
오너 리스크를 일으킨 기업이 시장에서 퇴출되어야 한다면 삼성, 현대, 한화 등 모든 재벌과 대기업부터 사라져야 한다. 오너 리스크 방지법은 프랜차이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든 기업에 부과되어야 할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문제다.
이제 서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프랜차이즈에 대한 이해와 상생하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에 대한 차분한 성찰이 필요하다. 마녀사냥식의 이분법적 프레임으로 프랜차이즈를 본다면 프랜차이즈의 순기능이 왜곡되고 만다. 나무와 숲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이제 서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프랜차이즈에 대한 이해와 상생하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에 대한 차분한 성찰이 필요하다. 마녀사냥식의 이분법적 프레임으로 프랜차이즈를 본다면 프랜차이즈의 순기능이 왜곡되고 만다. 나무와 숲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프랜차이즈를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대립구도로 몰아가는 한 프랜차이즈의 미래는 없다. 이는 고스란히 서민경제의 피해로 돌아간다. 프랜차이즈는 대립 시스템이 아닌 상생 시스템이다. 상생의 시스템은 결국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유기적이고 효율적인 관계에서 출발한다. 오너를 떠난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그 자체로 독립된 가치가 있다. 오너의 도덕적 완벽성을 잣대로 브랜드를 평가한다면, 프랜차이즈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 있는 그 어떤 기업도 자유로울 수 없다.
프랜차이즈는 가맹점이 살아야 가맹본부가 사는 시스템이다. 가맹본부가 제대로 역할을 해야 가맹점이 활성화된다. 가맹점이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핵심이다. 가맹본부는 합리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며 가맹점은 건전한 팔로워십이 요구된다. 가맹점 조직화는 가맹본부의 독주를 견제하고 가맹점의 이익을 대변하여 브랜드 운영에 역동성을 부여한다.
프랜차이즈는 가맹점이 살아야 가맹본부가 사는 시스템이다. 가맹본부가 제대로 역할을 해야 가맹점이 활성화된다. 가맹점이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핵심이다. 가맹본부는 합리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며 가맹점은 건전한 팔로워십이 요구된다. 가맹점 조직화는 가맹본부의 독주를 견제하고 가맹점의 이익을 대변하여 브랜드 운영에 역동성을 부여한다.
조직화된 가맹점은 대립이 아니라 상생이라는 원칙 하에 가맹본부와 가맹점,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상생협력위원회에 참여하여야 한다. 가맹본부는 상생협력위원회를 통해 가맹점의 의견을 경영에 반영하고 함께 성장하는 프랜차이즈 모델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대한민국의 프랜차이즈 산업은 역동적이다. 맥도널드 같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탄생할 수도 있다. 프랜차이즈 산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운영이 필요한 시점이다. 프랜차이즈는 유령도 괴물도 아니다. 프랜차이즈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있어야 진정 가맹점을 살리고 서민경제를 풍요롭게 할 해법을 찾을 수 있다.
대한민국의 프랜차이즈 산업은 역동적이다. 맥도널드 같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탄생할 수도 있다. 프랜차이즈 산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운영이 필요한 시점이다. 프랜차이즈는 유령도 괴물도 아니다. 프랜차이즈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있어야 진정 가맹점을 살리고 서민경제를 풍요롭게 할 해법을 찾을 수 있다.
이성훈 세종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프랜차이즈 MBA 주임교수, “詩와 마케팅” 저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