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국민의당 진상조사단장이 문준용씨 특혜입사 의혹 제보 조작 사건에 대해 당원 이유미씨의 단독범행이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국민의당 진상조사단이 3일 문준용씨 제보조작 사건에 대해 당원 이유미씨의 단독범행으로 최종 결론을 내리고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김관영 진상조사단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다만 앞서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 조작증거 발표 전 박지원 당시 대표와 한차례 통화를 했다고 진술한 사실이 확인돼 지도부의 검증부실, 직접개입 여부를 두고 논란이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관영 단장은 이날 "증거를 조작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 만들어낸 상황에 당 검증시스템은 증거조작을 걸러내지 못하고 무력했다. 검증에 실패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조직적으로 없는 증거를 조작할 만큼 미숙하거나 파렴치한 정당은 아니다"며 당 차원의 조작 개입을 부인했다.


이는 이번 사건이 이유미씨 개인의 단독범행에 당 전체가 속았다는 주장으로, 국민의당은 이준서 전 최고위원 역시 조작행위를 사전에 인지했거나 가담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김 단장은 이씨가 조작 사실을 고백한 직후인 지난달 25일 이씨와 이 전 최고위원, 공명선거추진단 단장이었던 이용주 의원과 김성호 전 수석부단장, 김인원 부단장이 가진 '5자 면담'에서 나온 대화 내용을 근거로, 이 전 최고위원 역시 조작에 가담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김 단장은 "이씨는 이 전 최고위원의 거듭된 자료요구 압박에 못 이겨 증거를 조작했다고 진술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전 최고위원이 이씨에게 명시적으로, 혹은 은유적으로라도 조작하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부분이 없다'고 이씨가 답한 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당시 (회동) 참석자들의 진술 내용을 종합하면 이씨의 관련 진술이 오락가락하고 혐의 내용을 이 전 최고위원에게 지속적으로 전가하려는 듯한 진술을 계속하고 있었다(고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김 단장은 이씨의 5월8일자 '사실대로 모든 걸 말하면 국민의당은 망하는 것'이라는 카카오톡 내용에 대해서는 "당시 사실대로라고 하는 것은 '증거조작'이라는 것이 아니라 단순 대화내용을 너무 확대해 밝혔고 언론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보낸 것으로 이해했다는 게 이 전 최고위원의 진술 내용"이라고 해명했다.

이날 발표에선 박지원 전 대표가 이준서 전 최고위원과 조작제보 기자회견 전 한차례 통화를 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박 전 대표는 조작 개입 여부를 부인하고 있으나 통화를 통해 제보 내용을 미리 들었을 수 있는 상황이다.

김 단장에 따르면 이 전 최고위원은 지난 5월1일 박 전 대표와 한차례 짧게 통화를 나눴다고 진술했다. 앞서 김 단장은 지난달 29일 중간발표를 통해서는 이 전 최고위원이 조작제보 발표 전 박 전 대표에게 연락을 시도했으나 비서관이 소지한 휴대전화로 연락을 취해 불발됐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김 단장은 "제보의 구체적 내용을 의논한 게 아니라 이 전 최고위원이 자료를 보냈으니 확인해 보라는 간단한 내용의 통화였다. 그날 이후 박 전 대표와 이 전 최고위원 간에 어떤 통화나 문자가 없었음도 확인했다"고 부연했다.

한편 안철수 전 대표가 이유미씨로부터 이른바 '구명 문자'를 받은 시각은 이용주 의원의 조작 파문 보고를 듣기 전인 6월25일 오전 7시3분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씨는 당시 "의원님 이유미입니다. 어제 이준서 위원과 면담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제발 고소 일괄취소 부탁드립니다. 이 일로 구속까지 된다고 하니 저는 정말 미치도록 두렵습니다. 죽고 싶은 마음뿐입니다. 절박한 마음으로 부탁드립니다. 제발 조속히 고소 취하하도록 꼭 부탁드립니다"라는 내용의 문자를 보냈다.

안 전 대표는 이에 대해 당시 문자가 왔다는 알림만 확인했을 뿐 문자 내용은 확인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이후 같은 날 9시47분 이용주 의원으로부터 전화로 '조작 파문'에 대해 보고를 받았고, 그 뒤에야 이씨가 보낸 문자 내용을 확인했다는 게 김 단장이 파악했다고 주장한 내용이다. 안 전 대표는 이후 이씨에게 별도로 답장을 보내거나 전화를 걸지 않았으며, 박주선 비대위원장에게 당 차원 조치를 요청했다.

김 단장은 이에 대해 "(안 전 대표는 이씨와) 굳이 통화할 필요를 못 느꼈다고 한다. 이씨 문자에 대해 이용주 의원의 전화를 받고서야 의미를 알게 됐지만, 별도로 답장할 필요성을 못 느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