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세까지 직업군인이던 그는 작은 피자가게 사장으로 시작해 연 매출 900억원을 올리는 외식업계 마이더스의 손으로 급부상했다. 피자 한판을 사면 한판을 더 준다는 ‘1+1 마케팅’을 업계 최초로 실행한 것도 그다.
그러나 그의 명성은 최근 연일 하락세. 치즈통행세, 납품가격 등으로 가맹점주와 갈등을 겪는 데 이어 가맹점주를 사찰하고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는 혐의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공 대표 등 임직원 7명을 이 같은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그러나 그의 명성은 최근 연일 하락세. 치즈통행세, 납품가격 등으로 가맹점주와 갈등을 겪는 데 이어 가맹점주를 사찰하고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는 혐의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공 대표 등 임직원 7명을 이 같은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공재기 피자에땅 대표. /사진제공=피자에땅
가맹점주협의회는 공 대표 등이 협의회 총회가 열리는 대전과 서울 용산·수원 등에서 가맹점주의 참석을 방해했다고 주장한다. 총회장 입구에서 가맹점주의 사진을 무단으로 촬영하고, 점포명·성명 등의 개인정보를 수집해 가맹점주의 총회 참석을 막았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시민단체는 이를 두고 “법적으로 보장된 협의회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도록 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실제 가맹법 14조 2항에 따르면 가맹점은 협의회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가맹본부는 이에 대해 불이익을 줘선 안 된다.
더불어 피자에땅의 후진적 족벌경영 체제도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피자에땅은 공 대표의 가족이 운영하는 납품업체를 통해 가맹점에 식자재를 공급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가맹점에 식자재를 납품하는 물류회사는 공 대표의 부인이, 박스포장 업체는 아들이, 도우(빵) 납품 회사는 딸이 대표다. 경영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친인척이 수뇌부를 형성해 나눠먹기식 비리를 저지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여러모로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피자에땅. 그 선봉에 선 공 대표가 땅에 떨어진 피자에땅의 신뢰를 회복하고 새정부의 ‘갑질 개혁’ 칼날을 피해갈 수 있을지 업계 안팎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498호(2017년 7월26일~8월1일)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