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하지 않아도 된다. 사진은 경기 수원시 경기도청 조감도. /사진=경기도 제공
20대 경기도민 32.0%가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34.1%가 '자녀가 없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23일 지난해 7월1일~8월5일 도내 만 19세 이상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IV: 가족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대의 31.9%, 30대의 21.3%가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응답했다. 반면 40대는 18.1%, 50대는 16.0%, 60대는 9.0%, 70대는 8.5%, 80대는 9.6%에 불과했다.
자녀 가치에 대한 조사에서는 20대의 34.1%, 30대의 24.7%가 '자녀가 없어도 상관없다'고 응답했다. 반면 40대는 16.2%, 50대는 14.4%, 60대 이상은 9.0% 미만에 불과했다.
선호하는 자녀수에 대해서는 30대 이하는 2명 이하를, 70대 이상은 2명 이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는 외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결혼 의향에 대한 조사에서는 미혼 남성의 71.0%, 미혼 여성의 59.8%가 '결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여성의 결혼 의향이 낮게 나타난 것은 여성이 가사와 양육을 전담하는 이른바 '독박 육아'가 극복되지 않은 현실을 반영한다는 해석이다.
이병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결혼을 통한 출산이라는 전통적 규범이 여전히 강한 한국 상황에서 초저출산 현상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가 동시에 낮아짐으로 인해 심화되고 있다"며 "사회 전체적으로 결혼에 대한 부담과 성혼의 과정에서 갈등을 극복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풀이했다.
이 연구위원은 "결혼 의식과 출산 의식 사이에는 강한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결혼 장려 정책과 출산 장려 정책은 별개의 사업이 아닌 한 묶음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결혼 의식과 출산 의식 사이에는 강한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결혼 장려 정책과 출산 장려 정책은 별개의 사업이 아닌 한 묶음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