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살충제 달걀. /자료사진=뉴스1
네덜란드 수사 당국이 유럽 전역으로 퍼진 '살충제 달걀 사태'와 관련해 2명의 용의자를 체포했다고 외신 등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지 검찰 대변인은 용의자 2명이 "살충제 물질을 사용했다고 추정되는 회사의 관리자 2명"이라고 설명했다. 현지 언론은 이 회사를 네덜란드 양계업체인 '칙프렌드'(Chickfriend)라고 보도했다.
체포 소식은 이날 네덜란드가 벨기에와 합동 단속에 나선 직후에 알려졌다. 살충제 달걀이 가장 먼저 나온 네덜란드와 벨기에는 사태가 이웃 국가로 확산되자 합동 단속에 돌입했다.
벨기에는 이날 네덜란드 국경지대 인근 플랜더스 지역 8곳에서 단속을 진행했다. 벨기에 북부 항구도시인 안트워프의 검찰 대변인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현재 몇몇 단속이 시행되고 있다"고 전달했다.
문제의 성분인 피프로닐은 벼룩·진드기 등 해충을 없앨 때 사용하는 맹독성 물질이다. 사람이 다량 섭취할 경우 신장·간·갑상선 등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식용 동물에는 사용이 금지됐다.
살충제 달걀 사태는 각국 정부 예상보다 더 많은 양이 유통된 것으로 확인되며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영국 정부는 이날 기존 발표를 훌쩍 뛰어넘는 약 70만개의 살충제 달걀이 자국에 유통됐다고 발표했다. 당국은 성명에서 "영국에 유통된 달걀의 수는 기존에 수입량으로 알고 있던 2만1000개가 아닌 70만개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다만 이 수치는 매년 영국에서 소비되는 달걀 수의 0.007%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정부 발표에 따라 영국 내 주요 슈퍼마켓 체인점 4곳은 이날 달걀을 포함한 샌드위치·샐러드 등 제품 판매를 중단했다.
벨기에와 국경을 맞댄 룩셈부르크에서도 사태가 확산되는 모양새다. 룩셈부르크에서는 네덜란드 슈퍼마켓 체인점인 '칵투스'에서도 피프로닐이 함유된 달걀이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룩셈부르크의 간편식품 공급업체인 '카터맨'과 '카네사' 역시 피프로닐이 검출된 벨기에 업체로부터 달걀을 공급받은 사실이 밝혀졌다. 살충제 달걀을 유통한 할인전문점 '알디' 지점에서는 판매된 달걀이 이날 모두 회수됐다.
지금까지 살충제 달걀이 발견된 유럽 국가는 네덜란드·벨기에·독일·스웨덴·스위스·영국·프랑스·룩셈부르크 등이다.
책임은 벨기에와 네덜란드를 향한다. 벨기에 정부는 지난 6월 피프로닐에 오염된 달걀이 시중에 유통된 사실을 확인했으나, 지난달 20일에서야 이를 유럽연합(EU)에 늑장 보고한 사실이 전해졌다. 또한 전날에는 네덜란드 정부가 지난해 11월 말 달걀의 피프로닐 오염 가능성을 인지했음에도 이를 지난달 EU측에 늑장 보고했다는 주장이 벨기에 농업부에서 제기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