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유럽에 이어 국내에서도 '살충제 달걀'이 발견되면서 정부가 대응에 나섰지만 적기를 놓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유럽에서 살충제 달걀 파문이 불거지기에 앞서 국내에서도 달걀 위해성에 대한 경고가 나왔기 때문이다.
15일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4월 유통달걀 농약관리 방안 토론회에서는 국내산 달걀의 농약 성분 검출 논란이 다뤄졌다.  당시 토론회에 참여한 박용호 서울대 교수는 지난해 산란계 사육농가 탐문조사 결과 양계농가 61%가 닭 진드기 감염과 관련해 농약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지난해 국내산 닭의 진드기 감염률이 94%라는 통계를 발표하기도 했다.

연맹 측은 "토론회 참석자들은 닭 진드기 감염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며 "당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도 관리 필요성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연맹의 입장은 9일 발표됐다. 연맹은 당국의 안일한 대응을 지적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올 1월부터 지난달 중순까지 수입된 스페인산 달걀 100만개에서 살충제 성분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지만 국민들의 불안감이 확대되자 민간에서 먼저 대응했다. 편의점업계는 자발적으로 벨기에산 와플을 유해상품으로 분류하고 전면 판매 중단에 나섰다.

한편 농식품부는 국내 친환경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하던 중 두 농가에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을 검출했다. 농식품부는 지난 14일 밤 12시부터 모든 농장의 달걀 출하를 중지하고 3000마리 이상 산란계를 사육하는 모든 농장을 대상으로 전수 검사를 진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