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청운효자동 집회시위 금지 주민대책위원회' 회원들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집회 및 시위 근절을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 종로구 청와대 인근 청운효자동 주민들이 시민단체에 "일상생활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집회와 시위를 자제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청와대 및 경찰청 등에 집회·시위 제한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주민들은 이날 오전 10시30분쯤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20일 경찰서에 집회와 시위를 제한해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했지만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들은 "집회·시위 및 표현의 자유는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으로서 보장돼야 한다"면서도 "우리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참기 힘든 고통을 주는 것은 분명 잘못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른 지역과 달리 우리 동네에는 농학교, 맹학교, 장애인복지관이 있어 보행 안전이 어느 지역보다도 중요하지만 집회·시위자들이 수시로 보도를 점령해 보행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하루에도 수차례의 집회·시위가 끊이지 않아 장사를 할 수가 없어 인근 가게들이 망해 나가기에 이르렀다"고 호소했다.

'청운효자동 집회시위 금지 주민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5월10일~8월3일 청운효자동 일대에서 처음으로 집회·시위를 신고한 단체들의 수는 102건으로 집계됐다.

김종구 대책위원장은 "이들이 반복해서 집회·시위를 했기 때문에 실제 건수는 약 300여건에 이를 것"이라며 "지난 8일부터 접수받은 피해 사례가 105건에 달한다"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일대의 소음 측정 결과 최대 90㏈을 넘어 주간 소음기준인 65㏈을 넘으면서 경복고등학교의 수업에 지장을 주고 있다"며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에서 청와대 인근 100m 이내에서는 집회·시위를 하지 못하도록 돼 있는데 이를 500m 정도로 늘리도록 법을 개정했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기자회견 직후 20여분간 손팻말을 들고 사거리 횡단보도를 돌면서 침묵 시위를 벌인 뒤 해산했다. 이날 기자회견장 주변에는 안전 관리를 위해 경찰 병력 6개 중대가 투입됐으나 당초 우려된 인근 농성장과의 충돌 사태 등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