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문재인 대통령(오른쪽 4번째)이 20일 오후 8시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문재인정부 출범 100일 기념 국민인수위원회 대국민 보고대회 행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아빠 육아휴직 정책도 있지만 근원적으로는 연장노동을 포함해 노동시간 주 52시간제를 빨리 확립해야 한다"고 새 정부의 저출산 정책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일 오후 8시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문재인정부 출범 100일 기념 국민인수위원회 대국민 보고대회에서 새 정부 기조 '아이 낳고 싶은 나라'에 대한 국민 질문을 받고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연차휴가도 다 사용하도록 해서 일하는 부모, 아빠·엄마가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여유를 갖도록 하는 게 더 근본적 해법이라 생각한다"며 "반드시 그렇게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문 대통령은 "제 아들딸이 전부 아이가 하나다. (손주들이) 어느 정도 자랐기 때문에 제가 '한 명 더 낳지 그러냐' 이러면 둘 다 엄두가 안 난다고 한다"며 "아예 아이 하나 갖는 것도 엄두 안 난다는 분들이 많다"라고 회상했다.


그는 "지금처럼 아이를 낳지 않으면 앞으로 대한민국이 어떻게 되겠는가. 벌써 올해부터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했다"며 "몇 년 지나면 대한민국 총인구가 줄어든다"고 우려했다.

문 대통령은 "정말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그런 나라, 낳고 싶은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며 "아마 많은 대책들을 장관이나 수석들이 앞에서 말씀하셨을 것으로 믿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가 하나만 더 말씀드리면 역시 근본적 해법은 지금 아이를 기르는 것이 엄마의 부담으로만 돼 있다"며 "엄마와 아빠가 함께 아이를 기를 수 있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한다"고 부모의 공동 양육 문화 조성을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