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 6월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정부가 요가 매트, 휴대폰 케이스 등 합성수지 제품에 대해 다음달 중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예비안전기준을 마련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생활화학제품 국민 불안 해소 방안을 보고했다.

산자부는 안전기준을 만든 뒤 국내에 유통되는 합성수지 제품을 수거해 오는 10월까지 안전성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이후 유해물질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점검을 이어 나가기로 했다.


안전관리법령의 사각지대에 있던 비관리제품에 대해서는 다음달부터 국무조정실 차관급을 위원장으로 '제품안전정책협의회'를 구성해 제품별로 소관 부처를 명확히 지정하는 등의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서 지정 관리하고 있는 36개 품목 모두에 대해 올해 말까지 안전성 조사를 완료하고 다음해부터는 지정 관리 대상 이외의 어린이 제품에 대해서도 안전성 조사를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확산된 소비자들의 생리대 사용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의 검사와 위해 평가를 실시한다. 접착체, 흡수체, 부직포 등 생리대 원료나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화합물질을 조사하고 사용을 줄이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제품 제조에 사용된 전체 성분을 표시하도록 추진하고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성분은 관리 기준을 설치한다. 제조 업체들이 주기적으로 시행한 위해 성분 검사 결과를 제품에 표시하는 방안도 함께 진행한다.

환경부는 불법 제품이 시장에 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소비자 단체와 협력해 시장 모니터링을 하고 소비자가 손쉽게 제품의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이 총리는 "정부는 불안 요인들을 선제적으로 조사하고, 조치하면서 그것들을 과학적이되 알기 쉽게 국민께 설명해야 한다"며 "환경부, 식약처, 산업부 등 모든 관련 부처는 이 점에 각별히 유념해서 국민 불안을 없애고 신뢰를 얻도록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