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러 정상회담.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6일(현지시각)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한러 정상회담 직전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6일(이하 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한러 정상회담을 갖고 "여기서 북한의 도발이 멈추지 않으면 통제할 수 없는 국면으로 빠져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문 대통령은 "그래서 북한의 도발을 멈추게 하고, 북핵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그런 방안도 함께 모색하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에서 푸틴 대통령과 회동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2번째 한러 정상회담이다.

그는 인사말에서 "짧은 기간 동안 거듭 만나고, 또 통화도 하다 보니 아주 친근하게 느껴진다"며 "푸틴 대통령과 저는 연배도 비슷하고, 또 성장 과정도 비슷하고, 기질도 닮은 점이 많아서 많이 통한다고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이 추진하는 신동방정책과 제가 추진하는 신북방정책은 꿈을 같이 꾸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렇게 느껴진다"며 "한국은 러시아 극동 개발에 최적의 파트너다. 재임 중 한러 관계를 격상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 때문에 국제 정치 상황이 아주 엄중해졌다"며 "북한은 도발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얼마 전 전화 통화를 했고 오늘 다시 만나서 함께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비롯해 우리가 우려스럽다고 생각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그리고 양자 전반에 대해서도 논의하게 돼 반갑다"고 인사했다.


그는 "이 맥락에서 흡족해 하면서 주목할 만한 것은 우리의 양국 교역량이 지난해에 16% 정도 떨어졌지만 올해는 6개월 동안 50% 정도 늘어났다"며 "앞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훨씬 더 크다.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희망했다.

한편 양국 정상은 이날 오후 1시34분쯤 양국 외교부 장관 등 소수의 배석자가 함께하는 소인수 단독 회담을 통해 인사를 나눴으며 오후 2시50분쯤 오찬을 겸하는 확대 회담으로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