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노사의 ‘2017년 임금 및 단체협약 갱신교섭(임단협) 잠정 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 73.57%의 찬성률로 가결됐다. 미래지향적이고 혁신적 노사관계 정립에 대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잠정 합의안이 지난 8일 늦은 밤까지 진행된 찬반투표에서 가결되며 SK이노베이션이 한국형 노사교섭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17년 임단협 조인식은 오는 12일 SK 서린사옥에서 SK이노베이션 김준 사장, 이정묵 노동조합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앞서 SK이노베이션 노사는 지난 4월 말 임단협 교섭을 시작해 8월25일 잠정 합의안을 이끌어 냈다. 합의안에서 누사는 매년 임금인상률을 전년도 한국은행 발표 소비자물가지수와 연동되도록 합의했다. 이에 따라 매년 관행처럼 짧게는 반년, 길게는 1년까지 걸리던 교섭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게 됐다.
이 같은 임금협상 방식이 국내 기업에 도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밀고 당기기 식의 소모적인 협상 관행에서 벗어나 발전적 노사관계로 진화할 수 있는 한국형 노사교섭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28일 서울 종로 서린동 SK빌딩 본사에서 열린 2017년 임단협 상견례. 왼쪽부터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 이양수 SK에너지 울산CLX 총괄, 이정묵 SK이노베이션 노동조합 위원장. /사진=SK이노베이션
또한 SK이노베이션 노사는 이번 임단협에서 회사의 발전이 구성원뿐 아니라 협력사 및 사회적인 발전에도 기여해야 한다는데 합의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기본급의 1%’를 사회적 상생을 위한 기부금으로 출연키로 했다. 노사가 공동으로 나서서 사회적 상생을 위한 기부문화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함께 SK이노베이션 노사는 근로자 임금체계를 획기적으로 바꾸는데도 합의했다. 입사부터 퇴직까지 연차에 따라 임금이 꾸준하게 상승하는 기존의 임금체계를 ‘근로자의 역량·생산성의 향상도 및 생애주기별 자금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차별 상승폭을 조절하는 임금구조’로 개선했다.
이는 임금 최고점을 조정하고 생산성에 따른 합리적 구조로 변경해 근로자 생애 주기에 맞춘 ‘SK식 임금체계’로 SK이노베이션 노사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해소에 앞장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우리 사회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사회양극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책임감 있게 나서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도 의미가 있다.
임수길 SK이노베이션 홍보실장은 “선례가 없는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노사관계를 구축하는 이번 찬반투표에 노조원의 90% 이상이 참여해 73.57%라는 높은 찬성률을 보인 것은 회사와 구성원 그리고 사회가 공동 발전해야 한다는 새로운 미래에 대한 한 마음 한 뜻이 모아진 결과라는 점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묵 SK이노베이션 노조 위원장은 “이번 임단협은 조합원의 자긍심을 높이고 대기업 노조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깊이 고민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노조는 회사의 성장이 구성원 및 사회의 행복과 직결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은 “노사가 물가에 연동한 임금상승, 역량·생산성과 생애주기를 고려한 임금체계 및 사회적 상생이라는 의미 있는 노사관계 모델을 만들어 냄으로써 SK는 물론 우리 사회가 한단계 더 성숙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미래 지향적인 노사관계가 발전되어 딥체인지2.0 성공에 필요한 획기적인 기틀을 마련하게 됐고 기업가치 30조를 넘어 50조, 100조의 새로운 딥체인지를 위한 훌륭한 추진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