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형사립고등학교 학부모연합회가 지난 6월26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자사고 폐지 반대 집회를 마치고 서울시교육청으로 행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정부가 자율형사립고등학교 폐지 정책에 시동을 건 가운데 자사고가 본격 대응에 나선 모양새다.
서울 지역 22개 자사고 모임인 서울자사고연합회는 19일 중구 이화여고 유관순기념관에서 예비 고등학교 1학년을 위한 공동 입시설명회 '2021 대입 자사고가 정답이다'를 열고 "(정부가 자사고 폐지 정책을 추진하더라도) 어떻게든 자사고를 끝까지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 지역 자사고가 합동 입시설명회를 개최한 것은 이례적이다. 자사고의 경우에는 학교별 입시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자체 입시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날 입시설명회에는 서울 지역 자사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부모 및 학생 1700여명이 참석했다.


중동교 교장인 오세목 연합회장은 "자사고 폐지 정책 추진으로 혼란스러운 학부모·학생들에게 '그럴 일 없다'고 안심시키기 위해 이러한 자리를 마련했다"며 "국민의 교육 평등권, 학습권, 학교 선택권은 존중돼야 한다. 현 정부가 추진하는 자사고 폐지 정책은 외눈박이 평등론자들이 주장하는 잘못된 평등이자 그릇된 선동"이라고 주장했다.

오 회장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데도 진영 논리를 앞세우다 보니 교육이 점차 혼란스러워지고 있다"며 "백년지대계인 교육이 오년지소계로 전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에게는 (정부의 자사고 폐지 정책 추진에 대응할) 플랜 A부터 플랜 C까지 마련돼 있다. 자사고는 영원할 것"이라며 "안심하고 자녀들을 자사고에 보내시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창의 인재로 길러드릴 것을 약속한다"고 공언했다.


한편 문재인정부는 입시 경쟁을 완화하고 고교 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자사고·외고·국제고를 일반고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사고 폐지 정책은 이미 시동이 걸린 상황이다. 교육부는 올해 하반기 고교 유형에 따른 선발 시기를 규정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해 자사고·외고·국제고와 일반고의 동시 선발을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