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간부파업대회를 열고 있다. /사진=뉴스1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전국학비연대회의)가 교육당국에 근속수당 인상을 요구했다.
전국학비연대회의는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간부파업대회를 열고 "비정규직 차별 철폐를 위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근속수당을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교육당국은 올해 학교 비정규직의 처우 개선을 위해 집단 교섭을 먼저 제안했지만 지난 두달 동안 6차례 진행됐던 교섭에서는 단 한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파행만 거듭했다"고 비판했다.


전국학비연대회의는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등 3개 노조가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을 상대로 공동 교섭과 투쟁을 위해 결합한 조직이다.

이들은 그간 교육당국에 2년차부터 근속수당을 연 5만원 인상해달라고 요구해왔다. 협상에 별다른 진전이 없자 연 3만원 인상으로 양보안을 제시한 상황이다. 현재 학교 비정규직은 근속 3년이 되면 장기근무가산금으로 월 5만원을 받고 4년차부터 1년에 2만원씩 올려받는다.

전국학비연대회의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근속수당 인상은커녕 (다음해부터) 최저임금이 오르니 기본급을 깎자는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최저생계비에도 못미치는 학교 비정규직의 최저임금을 깎자는 기만적인 방안을 처우개선이라고 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이들은 "올 추석 전 협상이 타결되지 않는다면 학교 비정규직의 분노가 또다시 세상을 뒤흔들 수밖에 없다"며 "그렇게 될 경우 교섭 파행의 책임은 교육부 장관과 시도교육감들이 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대회는 오후 2시 교육당국과의 7번째 집단교섭을 앞두고 진행됐다. 전국학비연대회의 관계자는 "오후 6시쯤 교섭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교섭도 원만히 진행되지 않을 경우 오는 26일쯤 총파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