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인도적 지원.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지난달 29일 춘추관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청와대는 한 일본 언론이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우리 정부의 '800만달러 대북 인도적 지원'을 비판했다고 보도한 데 대해 오보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문재인 대통령의 설명을 듣고 인도적 지원을 이해한다는 취지의 반응을 보였다는 것.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2일 춘추관에서 "한·미·일 정상 간 만남을 둘러싼 악의적 보도와 관련해 해당 언론사와 일본 정부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며 "현장에 배석한 우리 관계자는 해당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의도적 왜곡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한 일본 언론은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오찬 당시 아베 총리에게 "북한을 봉쇄하려면 힘이 필요하다. 아베 총리는 힘이 있고 문 대통령은 힘이 없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대북 인도적 지원 지원 결정에 상당히 화를 냈다고 보도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아베 총리가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 문제를 꺼낸 것은 사실이다. 문 대통령은 "여러 차례 언급한 대로 이 문제는 유니세프 등 국제기구의 요청에 따라 이뤄진 것이고 시기는 조절할 수 있다"고 설명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그럴 수 있겠다"며 이해한다는 취지의 태도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윤 수석은 "정상 간 만남에서 대화 내용은 공식 브리핑 외에 언급하지 않는 것이 외교적 관례다. 또 제3국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그 자체로 결례"라며 "그런데도 사실과 동떨어진 내용이 일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계속 보도되고 있는 점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 이같은 상황이 재현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같은 행태가 한일 간의 우호적 관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우려하는 바"라며 "외국 언론 보도를 확인도 하지 않고 받아쓰는 국내 언론에도 마찬가지로 유감을 표한다. 오보는 받아써도 오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짧게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해한다는 취지로 표현했다"며 "이 문제는 정상회담에서 주요하게 논의된 바 없으며, 간략하게 언급한 것으로 끝났다"고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