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학수. 한학수 MBC PD가 2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도착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명박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 장악을 위해 '블랙리스트'를 제작해 관리한 의혹과 관련해 한학수 MBC PD가 검찰에 출석했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은 29일 한 PD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한 PD는 이날 오전 9시53분쯤 서울 서초구 검찰청사에 도착해  "MBC 장악은 거대한 플랜이었다고 생각한다. 오늘 제가 몇 년 간 겪었던 일들이 국정원의 언론 장악과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 청와대와 어떤 연결이 돼 있는지 확인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MBC 경영진과 배후에서 조정한 국정원 담당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며 "국정원이라는 한 기관의 작품이 아니라 고 생각한다. 청와대 지시 없이 과연 국정원이 이렇게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수 있었을까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한 PD는 "김재철, 안광한, 김장겸 사장이 저지른 행위는 거의 전체주의 사회에서 있을 수 있는 잔인한 행위이다. 어떻게 기자와 PD 200여명을 쫓아내고 400여명을 징계할 수 있는가"라며 "저는 이 분들이 책임이 없다는 말에 실소를 금할 수가 없다. 이 분들이 반드시 포토라인 앞에 서서 검찰 조사를 받고 죄의 대가를 받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 PD는 2005년 MBC 'PD수첩'을 통해 황우석 박사 줄기세포 논문 조작을 밝혀낸 인물이다. 그는 2012년 파업에 참여한 후 MBC아카데미 등으로 전보됐고, 2014년에는 비제작부서인 신사업개발센터로 발령됐다.

그는 지난 4월 대법원 부당 전보 확정 판결로 제작부서인 콘텐츠제작국으로 돌아왔지만, 지난달 11일 콘텐츠제작국 소속 PD 30명 제작 거부 선언에 동참한 지 이틀 만에 다시 대기발령 조치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 방송사 블랙리스트 피해자로서 검찰에 출석한 MBC 관계자는 한 PD가 5번째다. 검찰은 지난 26일 최승호·이우환 PD 및 정재홍 작가를, 27일에는 현 언론노조위원장이기도 한 김환균 PD를 잇따라 소환해이 전 대통령 집권 당시 프로그램 제작 및 인사 관련 피해 사례 등을 조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