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지난 30년 동안 서울 아파트값이 10배 이상 올랐고 강남권은 강북보다 3배 가까이 뛰어 극심한 자산격차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일 정동영 국민의당 의원과 경제정의실천을위한시민연합(경실련)에 따르면 1988년~2017년 8월까지 서울 주요 34개 아파트단지의 시세변화를 분석한 결과 강남의 전용면적 82㎡ 아파트값은 1988년 7000만원에서 2017년 8월 12억원으로 11억3000만원 올랐다.

같은 기간 강북은 8000만원에서 5억4000만원으로 4억6000만원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정 의원에 따르면 1988년 서울 평균 아파트값이 3.3㎡당 300만원에서 1991년 800만원으로 잠시 급등했지만 이후 10년 동안 안정됐다.

그러다가 2000년 들어 평균가격이 960만원으로 올랐다. 이는 10년간 20%, 연 2% 상승에 그친 수치지만 2000년 이후에는 7년 동안 급격한 가격 폭등이 발생했다. 이 시기 강남은 4배, 강북은 3배까지 가격이 폭등해 자산 격차가 심각해졌다.

2007년 이후 분양원가 공개 등으로 거품이 빠지다가 박근혜정부가 들어선 2013년 이후에는 현재까지 급격한 상승세가 이어졌다는 설명.


정 의원은 아파트값이 급등하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 강남권 주요 5층 안팎의 저층 아파트단지 재건축 진행으로 막대한 개발이익이 발생했다고 본다.

정 의원은 “30년 동안의 상승금액 11억3000만원은 소득 중 지출을 뺀 돈을 200년 저축해야 마련할 수 있는 돈”이라며 “불로소득에 대한 정부 대처 부재가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