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재철 기상청장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기상청 국정감사에서 예보 정확성과 인공지진 발표 혼선 등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기상청 국정감사에서는 낮은 예보 정확도 문제, 지난 9월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발생한 인공지진 발표 과정에서 기상청이 빚은 혼선 등을 두고 의원들의 비판이 나왔다.
신보라 자유한국당 의원은 "북한에서 인공지진이 발생했을 때 기상청은 유관기관과 언론에 이 사실을 통보했지만,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는 통보하지 않았다. 직접 안전상황실에서 전화하니까 이메일로 통보하고, 결국 5번 이상 통화하고 나서야 인공지진 자료를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임이자 자유한국당 의원도 "인공지진 관련해서 외국기관과 규모가 다르고 기관끼리 혼선이 빚어지면서 함몰지진의 발표가 지연됐다. 핵실험으로 방사능이 유출됐을 경우엔 함몰지진의 발표가 늦어지면서 어떤 피해를 입었겠냐"며 비판을 이어갔다.


남재철 기상청장은 이에 대해 "인공지진을 처리하면서 미흡했던 부분이 많다. 개선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환노위 여당 간사인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청의 예보 적중률 문제를 지적했다. 최근 5년 동안 기상청의 강수유무 적중률이 46% 밖에 되지 않은 데 대해 한 의원은 "일반인이 예측해도 이 정도일 것이다. 기상청이 복마전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의원은 "2008년 기상청이 도입한 영국 기상청의 수치예보 모델이 정확성이 떨어지고 있다. 앞으로 어떤 노력을 할지 잘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영표 환노위원장도 "많은 의원들이 (예보정확도를)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냉정히 평가하고 국민에 사과하라. 매년 지적하고 있는데 부끄럽지 않느냐"며 지적을 이어갔다.

남재철 기상청장은 앞서 인사말에서 "정확한 기상, 지진정보의 생산과 신속한 전달에 여러 가지 미흡한 점으로 인해 국민 걱정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을 잘 알고 있다"며, "과거 미흡했던 부분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철저한 내부반성과 함께 정책대안을 적극 반영해 기상업무 전반에 대한 업무체계를 개선하고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