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비정규직.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달 29일 서울 용산구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를 방문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이낙연 국무총리는 19일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가 전날 발표한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과 관련해 "모든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계속·상시적 업무 등 일정한 기준 내에 있는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겠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일자리위원회가 전날 마련한 일자리 로드맵에 따르면 공공부문의 정규직 전환 등 큰 대책들이 많이 포함돼 있다"며 "오늘 보도를 보면 '공공부문은 모든 자리를 전부 정규직화하려고 하는 것이다'라는 투의 보도가 있는데 처음부터 그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 자꾸 그렇게 몰고 가는 것은 아직도 이해를 못 하거나 의도적인 것"이라며 "몰랐다면 이해를 제대로 해줬으면 좋겠고 의도라면 그런 의도 버려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 총리는 정부 부처를 향해서도 "정확한 이해를 얻으려면 확고한 인식을 가지고 국민에게 설명을 제대로 해야 한다"며 "일정한 기준 하에서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처음부터 정책의 내용이라는 것을 알아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그는 "분명한 것은 정규직 전환, 최저임금 인상, 노동시간 단축이라는 것은 노동의 질을 좋게 해서 삶의 질을 높이고 소득주도 성장을 이끌어가자는 취지"라면서도 "자칫하면 기업에 부담을 주고 노동에 양을 줄일 수가 있다는 점은 항상 우리가 염두에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