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특조위. 이건리 5·18 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출격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두환 전 대통령 시절 정부가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마련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건리 5·18 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출격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은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두환정부는 1985년 6월 '80위원회'를 구성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이 위원장은 "전두환정부는 1985년 6월5일 광주사태 진상규명 관계장관대책회의를 개최해 당시 국회질의 및 미문화원 점거 사건 등 광주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사회 각계의 진상 규명 요구에 대한 대응으로, 안전기획부의 주관하에 범정부 차원의 대책 기구를 설립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조위가 발굴한 85년 6월5일 관계장관 대책회의 자료에 따르면 국무총리실 행정조정실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내무부, 법무부, 국방부, 문공부, 육군본부, 보안사, 치안본부, 청와대, 민정당, 안기부가 참여하는 가칭 '광주사태 진상규명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기로 논의했다"고 전달했다.
이어 "진상규명위원회는 광주사태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 검토해 '광주사태 백서'를 발간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업무 추진을 위해서는 실무위원회를 편성했다"며 "실무책임은 안기부2국장이 담당하고 수집 정리팀, 분석작성 팀, 지원팀 등 총 3개의 실무팀과 이들 실무 활동을 관리하는 심의반으로 구성했다"고 부연했다.
이 위원장은 "85년 6월5일 관계장관 대책회의 자료로는 조직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는데 광주사태의 진상규명 실무위원회 위장명칭을 '80위원회'로 명기하고 있다"며 "이것은 정부 차원의 기구 구성이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최대한 막으려 했던 조치로 보여진다"고 추정했다.
그는 "85년 6월 6일 광주사태 실상 홍보준비위원회 회의자료 제1차에 따르면 부장님(안기부장 추정) 지침에 따른 작업 방향을 1단계 '사태관련 자료의 종합백서'와 2단계, '1단계 작업과 병행해서 홍보대책수립'으로 구분하고 각 기관별 수집 자료 목록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다"며 "이렇게 제시된 자료 목록은 각 기관에서 실제 수집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사실은 육군본부 민사군정감실의 '80위원회 회의자료'에서 확인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88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 과정에서 보안사를 중심으로 청문회대책교육인 '511분석반'이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며 "특조위에서 파악한 80위원회 경우는 '511분석반' 활동보다 무려 3년이나 앞서 구성됐으며 80위원회의 활동 목표가 광주사태 백서 발간과 홍보 대책이었다는 사실을 정부의 공식 문서를 통해서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이 위원장은 "80위원회의 구체적인 활동 결과와 광주사태 백서의 존재 유무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당시 주관 기관이었던 안기부의 후신인 국정원의 광주사태 백서의 보전 여부에 대한 확인을 오늘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진상규명위원회는 광주사태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 검토해 '광주사태 백서'를 발간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업무 추진을 위해서는 실무위원회를 편성했다"며 "실무책임은 안기부2국장이 담당하고 수집 정리팀, 분석작성 팀, 지원팀 등 총 3개의 실무팀과 이들 실무 활동을 관리하는 심의반으로 구성했다"고 부연했다.
이 위원장은 "85년 6월5일 관계장관 대책회의 자료로는 조직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고 있는데 광주사태의 진상규명 실무위원회 위장명칭을 '80위원회'로 명기하고 있다"며 "이것은 정부 차원의 기구 구성이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최대한 막으려 했던 조치로 보여진다"고 추정했다.
그는 "85년 6월 6일 광주사태 실상 홍보준비위원회 회의자료 제1차에 따르면 부장님(안기부장 추정) 지침에 따른 작업 방향을 1단계 '사태관련 자료의 종합백서'와 2단계, '1단계 작업과 병행해서 홍보대책수립'으로 구분하고 각 기관별 수집 자료 목록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있다"며 "이렇게 제시된 자료 목록은 각 기관에서 실제 수집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사실은 육군본부 민사군정감실의 '80위원회 회의자료'에서 확인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88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 과정에서 보안사를 중심으로 청문회대책교육인 '511분석반'이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며 "특조위에서 파악한 80위원회 경우는 '511분석반' 활동보다 무려 3년이나 앞서 구성됐으며 80위원회의 활동 목표가 광주사태 백서 발간과 홍보 대책이었다는 사실을 정부의 공식 문서를 통해서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이 위원장은 "80위원회의 구체적인 활동 결과와 광주사태 백서의 존재 유무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당시 주관 기관이었던 안기부의 후신인 국정원의 광주사태 백서의 보전 여부에 대한 확인을 오늘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