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가 관악구와 협업해 주거위기가구에 응급주택을 무상 제공키로 했다. 사진은 서울대 인근의 한 원룸 골목. /사진=김창성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거위기가구에 응급주택을 무상 제공한다.LH는 서울 관악구와 ‘매입임대주택의 주거위기 응급주택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24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LH는 서울지역본부에서 보유 중인 매입임대주택 중 공급취지에 적합한 주택을 선별해 관악구 지역현안 맞춤형 임대주택으로 무상 제공하고 관악구는 앞으로 10년간 주거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응급주택으로 운영하게 된다.
관악구는 서울의 대표적인 달동네와 고시촌 밀집지역으로 예전부터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불안 해소가 중요한 지역현안이었다. 이에 LH는 지난해부터 관악구 및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주거분과와 공동으로 주거위기가구를 발굴을 위한 주거취약계층 전수조사를 추진했다.
지하·옥탑방 등 거주자 총 5394가구에 대한 현장방문 상담을 통해 위기가구 1842가구를 발굴했으며 조사과정에서 화재, 수해 등 천재지변, 임대료 장기체납으로 인한 강제퇴거, 가정폭력으로 인한 긴급피신 등의 사유로 긴급 응급주택 지원이 절실한 가구의 어려움을 확인했다.
LH는 지역현안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의 일환으로 매입임대주택 총 5호를 앞으로 10년 간 관악구에 무상 제공하기로 결정했으며 관악구의 경우 입주자 관리 업무는 비영리 민간단체인 관악주거복지센터에, 주택 인테리어 보수 등 유지보수 업무는 사회적기업인 일터인테리어에 각각 위탁해 임시거주용 응급주택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LH는 이번 협약으로 도움이 절실한 위기가구의 주거불안을 해소하고 지역주민 전체의 주거안정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 앞으로도 지자체와 함께 주거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자체 맞춤형 신사업 모델을 계속 발굴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