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M 연구단지 렌더링 이미지.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이 미래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모빌리티 혁신 기술의 중심지인 미국 현지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
현대차그룹은 24일(현지시간) 미국의 미래 모빌리티 연구기관인 ACM(American Center for Mobility)의 창립 멤버로서 ACM이 추진 중인 첨단 테스트 베드 건립에 500만 달러(한화 약 56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혁신기술의 메카인 미국 현지에서 미래 모빌리티 관련 핵심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다른 업체들과 기술 교류를 확대해 미래차 마켓리더로 도약하기 위해서다.
ACM은 미국 미시간 주정부를 중심으로 미시간 주립대학, 완성차 및 통신 업체 등이 동참해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분야의 기술 개발, 성능 개선, 양산성 검토, 표준화 구축 등을 목적으로 설립한 미국 연방정부 공인의 산학협력 기관이다.
ACM은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서쪽에 위치한 입실런티 타운쉽 외곽에 자율주행 연구 인프라 및 제품 개발 주행 시설 등을 갖춘 대규모 연구단지 건립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약 200만m² 규모로 조성되는 연구단지는 각종 주행 상황, 기후 환경 등 시험 평가 및 검증 조건을 세밀하게 설정하고 반복, 재현 실험을 할 수 있는 테스트 베드 환경을 갖출 예정이다. 올해 말 1단계 시설공사가 완료되며 오는 2019년 말 완공된다.
현대차그룹은 ACM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기술 검증, ADAS 로직 평가, V2X 알고리즘 개발 등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분야의 기술적 완성도 및 신뢰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또한 ACM 참여가 확정된 도요타, 포드, AT&T 등 타 업체들과의 기술 교류를 확대하고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면밀히 파악하고 분석해나갈 방침이다. ACM 연구단지는 디트로이트 인근에 위치한 현대·기아차 미국기술연구소(HATCI)와 인접해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전략적 투자를 통해 미국 정부가 공인하는 ACM의 창립 멤버 자격으로, 미국 자동차시장 내 자율주행 기술 표준화 및 제도화 관련 협의 과정에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의 이번 투자는 자율주행, 커넥티드 등 미래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미래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혁신 기술의 메카인 미국 현지에서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분야 핵심 기술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 미시간주는 자율주행차가 미래 산업의 중추라는 판단 하에 규제 완화의 법적 기반으로 마련하고, 투자 유치 및 우수 인력 확보 등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완성차업체뿐만 아니라 구글, 우버 등 모빌리티 업체까지 실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를 실증 시험 및 운행하고 판매를 허용하는 내용의 포괄적인 자율주행차 관련 법안을 미국 주정부 최초로 제정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