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훈(왼쪽부터) 삼성물산 사장, 임병용 GS건설 사장, 조기행 SK건설 부회장, 강영국 대림산업 사장, 정수현 현대건설 사장이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2017 국정감사에 참석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배훈식 기자
주요 건설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여러 차례 지연된 사회공헌기금 2000억원 조성 약속을 조속히 이행할 뜻을 밝혔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정수현 현대건설 사장, 최치훈 삼성물산 사장, 강영국 대림산업 사장, 임병용 GS건설 사장, 조기행 SK건설 부회장 등 대형 건설사 CEO들은 전날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 같이 말했다.

앞서 17개 대형 건설사는 2012년 4대강 사업 입찰 관련 부당공동행위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11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이후 2015년 정부의 광복 70주년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된 건설사들은 속죄의 의미로 사회공헌기금 2000억원 모금을 약속했다. 하지만 사회공헌재단의 출연금액은 현재 47억1000만원으로 1년째 같은 수준이다.


건설업계는 당시 담합 사실 적발로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2년까지 관급공사 입찰이 제한돼 궁지에 몰렸지만 며칠 만에 사면받아 입찰에 계속 참여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기금 마련 약속은 계속 이행되지 않아 비판에 직면했다.

이날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경남 김해시갑)은 재단 출연 약속을 지키지 않은 대형 건설사 사장들을 압박했다.

그는 “2015년 원 건설업체 72개사가 공공입찰참가자격이 제한됐던 것을 정부로부터 사면받았고 같은해 8월 자정결의문을 발표하면서 2000억원 규모 공익재단을 연내 만들어 사회공헌활동을 집중 추진키로 했는데 왜 안했냐”며 질타했다.


이에 건설사 대표들은 이사회 결의, 최순실 게이트 여파 등이 있었다고 해명하며 자세를 낮췄다.

정수현 현대건설 사장은 “당초 약속했던 건 금액 부분”이라며 “시기나 용도 등에 대해서는 협회의 실무협의를 거쳐 결정한 다음에 내기로 했지만 그 부분이 미진했다”고 해명했다.

최치훈 삼성물산 대표는 “지난해 재단에 기금을 납부하면서 문제가 많이 앞으로는 10억원 이상 출연하는 것을 이사회에서 결의키로 규정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조기행 SK건설 부회장은 불황 여파에 기금 출연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그는 “회사의 재무적 어려움도 있었고 업계 모두가 참여하는 구체적인 이행계획이 없어 단독으로 이행할 수 없는 없었다”며 “업계 모두가 참여하는 이행계획이 마련되면 충실히 따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조정식 국토위원장은 “출연금을 모으는 방식과 과정에 대해 협회와 회의를 해서 적합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해결해주길 바란다”며 “2년 전 약속됐고 사회적 신뢰 문제기 때문에 지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