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암매장 발굴. 6일 5·18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 암매장 추정지인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 인근에서 5·18기념재단 관계자들이 발굴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뉴스1
5·18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 암매장 추정지인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에 대한 정밀 조사가 시작됐다. 이번 정밀 조사는 문화재 출토 방식을 활용하며 시굴트랜치와 탐사레이더 등 과학 기법을 동원한다.
5·18기념재단은 6일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 바깥쪽 폭 3m, 길이 117m 구간의 재소자 농장터에서 암매장 발굴 작업을 시작했다. 박종태 전남대 법의학과 교수 등 발굴·감식 전문가 4명과 대한문화재연구원 등 발굴 기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이날 암매장 추정지 현장에 작은 삽 을 사용해 흙을 조금씩 파는 문화재 출토 방식을 적용했다. 표토를 제거하고 층외까지 살펴보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 시굴트랜치와 땅속 10m까지 투과할 수 있는 탐사레이더도 투입한다.
5·18기념재단은 발굴 작업 시작 뒤 15일 정도면 유해 또는 구덩이가 있는지 확인되고, 만약 유해가 있다면 1개월 뒤 정도면 눈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유해 흔적이 발견되면 발굴 작업은 광주지검의 지휘를 받게 된다.
한편 5·18기념재단은 광주지검과 유해 발굴 이후 수습 방법과 신원 확인에 대해 협의 중에 있다. 5·18기념재단은 신원 확인을 전남대법의학교실이 맡아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검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신원 확인을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