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전 국방부장관이 7일 오전 검찰에 피의자신분으로 출석했다. /사진=뉴시스
김관진 전 국방부장관이 7일 검찰에 출석했다. 검찰은 이명박 정부 시절 군 사이버사령부 댓글 공작에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는 김관진 전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오전 9시 30분쯤 검찰에 출석한 김관진 전 장관은 댓글 공작 관여 사실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북한의 기만적인 대남 선전·선동에 대비해서 만든 것이 국군 사이버사령부 사이버심리전단이다. 그들은 본연의 임무수행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보고 여부 등의 질문에는 별다른 답변을 하지 않았다.
김 전 장관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재임하는 동안 임관빈 전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등을 통해 군 사이버사령부 댓글 공작을 지휘하고 이를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 검찰은 2012년 7월 댓글 공작에 투입할 군무원을 뽑는 과정에서, 호남 출신 인사 등을 배제한 의혹도 찾아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장관 조사에 앞서 전날 임 전 실장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 지난 2011년 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국방부 정책실장을 지낸 임 전 실장은 지난 2012년 이뤄진 사이버사령부의 친정부 댓글 공작에 가담하고 진행 상황 등을 김 전 장관에게 보고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임 전 실장 조사 내용을 토대로 김 전 장관에게 상부 지시 또는 묵인이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사이버사 댓글 공작 과정에 국정원이 개입했는지 여부도 조사 대상이다. 검찰은 국정원이 자금 등을 지원해 군의 '댓글작전'에 협조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