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인크루트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인크루트 회원 7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희망연봉을 결정하게 하는 데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구직자들의 17.4%가 '직무지식 및 경험'을 가장 높게 평가했고 '이전 직장 임금(15.0%)'이나 '(과거의) 일자리경험(12.1%)', '학력(11.5%)' 등이 희망연봉을 높이는 주 요인이 된다고 답했다. 이어 9.6%의 응답자들은 '연령' 또한 희망연봉을 높게 책정하는 데에 영향을 끼친다고도 답했다.
희망연봉 수준을 좌우하는 요소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 ‘성별’도 있었따. 남성의 경우 4612만원을 제시한 반면, 여성은 3334만원을 제시해 1300여 만원의 격차를 나타냈다.
경력 유무에 따른 희망연봉 수준의 격차도 적지 않았다. ‘신입직 구직자’가 평균 3310만원을 요구했던데 반해 ‘경력직 구직자’는 4267만원 정도의 연봉을 기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졸업자’가 5120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대졸(4082만원)’>’초대졸(3635만원)’>’고졸(3352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최종학교 소재지에 따른 구분에 있어서는 ‘서울권’ 출신이 4148만원으로 가장 높은 연봉을 희망한 가운데, ‘영남권(4057만원)’>’충청권(4054만원)’>’경인권(3917만원)’>’호남권(3751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 직무 별 희망연봉에서는 '건설·건축·토목·환경' 부문의 구직자가 4892만원으로 가장 높은 연봉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직·법률·인문사회·임원'이 4833만원, '생산·정비·기능·노무'가 4807만원의 희망 연봉을 제시했다.
이어 '전자·기계·기술·화학·연구개발'은 4689만원, '인터넷·IT·통신·모바일·게임' 직종 구직자는 4579만원 순으로 나타나 대체로 이공계통의 직무 지원자에게서 높은 연봉이 기대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뒤로는 '마케팅·광고·홍보·조사(4359만원)'>'금융·보험·증권(4342만원)'>'교육·교사·강사·교직원(4322만원)' 등의 순으로 연봉 기대치가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