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개발 본격화. /사진=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그룹이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래 고부가가치 사업인 로보틱스 신사업 분야를 개척해 성장가능성이 높은 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현대차그룹은 올해 연말까지 윗보기 작업용 착용로봇(H-VEX)을 시범 적용해 독자 개발한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의 기술력 검증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이에 앞서 현대·기아차는 지난 9월 북미공장에 의자형착용로봇(H-CEX)을 시범 적용했다.
올해 초 로봇·인공지능 분야를 5대 미래혁신 성장분야 중 하나로 선정한 현대차그룹은 관련 기술 개발에 주력하기 위해 전략기술본부 산하에 로봇 분야를 전담하는 로보틱스(Robotics)팀을 신설했다. 의자형 착용로봇과 윗보기 작업용 착용로봇도 로보틱스팀(전략기술본부)과 생기개발센터(생기개발본부)의 협업으로 탄생한 것이다.
현재 현대차그룹은 웨어러블 로봇과 서비스 로봇, 마이크로 모빌리티 등 3대 로봇 분야의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또 국내외 로봇·인공지능 기술을 보유한 유망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로보틱스 분야는 교통약자를 비롯해 모든 사람들에게 이동의 자유를 주는 것은 물론 산업, 군사, 생활 지원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현대차그룹은 자사의 사업 영역을 광범위하게 키워줄 미래 핵심 신성장 동력으로 해당 분야를 평가하고 있다.
시장 전망도 긍정적이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BIS에 따르면 세계 웨어러블 로봇시장 규모는 2016년 9600만달러(약 1077억원)에서 2026년 46억5000만달러(약 5조2150억원)로 10년간 약 50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한 투자도 공격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0일 미국의 인공지능 전문 스타트업 ‘퍼셉티브 오토마타’에 전략 투자를 단행했다. 로보틱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인간 행동 예측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협업에 나서기로 한 것.
이외에도 현대차그룹은 비전기술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 중국 내 최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스타트업 ‘딥글린트’(DeepGlint)와 협업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SK텔레콤, 한화자산운용과 함께 총 4500만달러 규모의 ‘AI 얼라이언스 펀드’를 조성해 인공지능 및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로보틱스 분야는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뿐 아니라 인구 감소와 노령화에 따른 생산성 하락에 대한 장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차 개발을 통해 쌓은 방대한 양의 기술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로보틱스 분야에서도 혁혁한 성과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