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 전경. /사진제공=경기도농업기술원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재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우리 전통장 담그기 문화 체험 행사를 11일 남양주시 뜰안에된장 가공체험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전통적인 장 담그기가 지난달 9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37호로 지정되는 등 전통장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이 재조명돼 젊은 외국인에게 장 담그기 문화를 알리고자 준비됐다.
우리의 장 담그기는 콩 재배, 메주 만들기, 장 만들기, 장 가르기, 숙성과 발효 등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발전시켜왔는데 이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장 제조법이다.
메주를 띄우는 과정을 거친 후 된장과 간장 두 가지의 장을 만든다는 점, 전년도에 쓰고 남은 씨간장을 이용해 수년 동안 겹장의 형식을 거친다는 점 등은 한국의 장 담그기가 갖는 특징이자 독창적인 대목이다.
전통장류 사업은 자연발효식품을 선호하는 추세에 맞춰 농산물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으로, 공기 맑고 물 좋은 농촌에서 직접 생산되는 100% 우리콩을 농업인들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가공, 고향의 맛과 인심을 담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김석철 경기도 농업기술원장은 “우리나라 전통 식문화인 장 담그기에 대해 국민들이 무형유산으로서 가치를 공유하고 전승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전통장류 체험 및 보급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