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연 사건. 이미숙. /사진=싸이더스HQ 제공

디스패치가 故장자연 사건에 이미숙이 얽혀있음을 다시 한번 보도했다. 오늘(22일) 디스패치는 앞서 고 장자연의 생전 폐쇄회로(CC)TV를 분석한 것에 이어 이번엔 이미숙과의 연결고리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내용을 다뤘다. 과거 이미숙과 이미숙의 전 소속사 ‘더컨텐츠’의 분쟁에 장자연이 참전됐다는 것.
2009년 이미숙은 더컨텐츠에서 호야스포테인먼트로 소속사를 옮겼다. 디스패치가 입수한 호야스포테인먼트 계약서에 따르면 유장호 대표가 ‘갑’, 이미숙이 ‘을’로 계약 기간은 2009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0일까지 계약금은 1억원이다. 문제는 전 소속사인 ‘더 컨텐츠’와의 계약 기간이었다. 더 컨텐츠 계약서에 따르면 이미숙의 전속계약 만료일은 2009년 12월 31일로 이미숙의 이적은 사실상 계약위반이었다.

디스패치는 해당 문제로 인해 장자연과의 관계가 얽히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이미숙과 김종승(더 컨텐츠 전 대표)은 10년간 함께해 온 만큼 비밀이 없었다. 이미숙은 소속사 이적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해 김종승을 압박할 카드를 찾고 있었다고 한다.


이미숙은 김종승 대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믿은 정세호 PD에게 연락해 수차례 SOS를 요청했다. 그러나 상황은 이미숙의 예상대로 흘러가지 않았고 김종승은 이미숙의 약점까지 꺼내 들었다고 한다. 김종승이 과거 이미숙의 불륜을 무마해줬던 것이라고.

이미숙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매니저이자 새로운 소속사의 대표인 유장호와 논의를 지속했고 유장호는 김종승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던 장자연을 만나 작성한 문건을 내세워 정 PD에게 계속 도움을 청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유장호는 이미숙과 장자연을 번갈아 만나고 장자연과 작성한 문건을 들고 일산 MBC 드라마 센터로 가는 등 바쁜 행보를 보였다고 한다. 이후 장자연에게 “나랑 누구 만날 거 같아. 오후에 스케줄 비워줘. 월요일 오전에 전화해”라는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고. 그리곤 장자연은 이 문자를 받은 2시간 뒤 목숨을 끊었다고 매체는 보도했다.


경찰은 당시 장자연의 마지막 행적을 추적하며 그와 연결된 인물들을 차례로 조사했지만, 혐의 입증에 실패했다. 디스패치는 고 장자연 사건과 관련해 ‘장자연을 이용한 세력들을 찾아 재조사를 시작해야 한다’면서 ‘장자연 리스트는 장자연 혼자 작성한 게 아니다’라고 강조, 이미숙의 일관된 ‘모르쇠’ 태도에 강한 의혹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