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시도시로 지정된 고양시 창릉지구 일대. /사진=뉴시스 고범준 기자
정부가 3기신도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교통대책과 관련해 2기신도시에서 발생한 광역교통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 개선방향을 마련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는 지적이 나왔다.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5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신도시 포럼’ 발족식에서 수도권 신규택지 광역교통대책 추진방안에 대한 발표를 하며 이같이 밝혔다.

조 선임연구원은 2기신도시 교통대책에 대해 “도시고속화도로 건설보다는 연계도로 확충과 광역철도 연장, 환승센터, 간선급행버스(BRT)사업 등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교통대책을 수립했다”며 “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일자리를 만들지 못해 서울로 장거리 출퇴근하는 주민들이 많아 광역교통 문제를 발생시켰다”고 설명했다.


이어 “3기신도시에서는 기존 신도시보다 2배 수준의 자족용지를 확보할 계획”이라며 “자족용지는 전철역, S-BRT역은 인근 교통이 편리한 곳에 집적화하고 역에서 출퇴근이 용이하도록 전기자전거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아파트 입주는 6년이면 가능하지만 도로, 철도 등은 완공까지 10년 이상 걸려 초기 4년까지는 광역버스가 대중교통 수단을 담당해야 한다”며 “광역교통 개선대책 수립지침 개정으로 대규모 개발사업 시행자가 초기 대중교통 운영비용 지원이 가능하므로 2~3기신도시에서 적극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