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헌절인 오늘(17일)은 유두절이기도 하다.
유두란 일반적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준말에서 생긴 것으로 알려졌다.
유두절은 음력 6월 보름으로 이날은 일가 친지들이 맑은 시내나 산간폭포에 가서 머리를 감고 몸을 씻은 뒤 가지고 간 음식을 먹으며 서늘한 하루를 지낸다. 이렇게 하면 여름에 질병을 물리치고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전해진다.
유주절식에는 기주떡, 상애떡, 수단, 편수 등이 있다. 기주떡은 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발효시켜 찐 떡이며 상애떡은 밀가루에 술을 넣어 부풀려서 찐 떡이다.
수단은 쌀가루로 만든 경단을 끓는 물에 삶아내어 꿀물에 넣고 잣을 띄운 음료다. 편수는 채소로 만든 소를 넣어 주로 여름철에 먹는 만두를 말한다.
이밖에도 유두면과 밀전병이 대표 음식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