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쏘카
차량 공유 서비스 쏘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장거리 이동객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용 연령층도 기존 20대와30대에서 40대 이상으로 확대되고 있다.
쏘카는 7~8월 주말동안 쏘카를 사용한 고객들은 평균 10시간 이상 대여했다고 11일 밝혔다. 쏘카 관계자는 “예전에 비해 대폭 늘어난 수치다. 최근 카셰어링 이용이 전 이동생활에 보편화 되면서 장거리 운행이 늘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40대 이상 고객의 이용 시간이 전년대비 100% 이상 늘어났다. 이는 차 소유를 일반적인 라이프스타일로 받아들였던 40대 이상 연령대도 카셰어링 이용으로 습관을 바꿨다는 의미다. 쏘카의 고객층이 어느 한 세대에 국한되지 않고 전 연령대로 확대되고 있는 셈이다.
그 원인으로 쏘카는 여행이나 출장 시 자차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이용 가능하한 점을 꼽았다. 자차 운행시 연료비를 포함해 보험료, 주차비 등 등 부수적인 지출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 쏘카 사용자들은 이런 걱정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이다.
또 장거리 여행시 쏘카가 상시적으로 선보이는 '얼리버드', '쏘카만있어도' 등 다양한 할인 혜택은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준다.
아울러 출장시 쏘카의 법인 카셰어링 서비스 ‘쏘카 비즈니스’를 이용하면 경비를 줄일 수 있다. 쏘카 비즈니스는 카드, 세금계산서, 후불정산 등 결제방식을 다양화하고 업종과 규모, 업무차 이용패턴 등에 맞는 합리적인 요금제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 있는 점도 카셰어링의 매력이다.
쏘카는 여행이든, 출장이든 각각의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차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됐다. 쏘카는 전국 74개 시군의 KTX, 기차역 버스터미널, 공항 등 대중교통 및 교통편의시설 거점과 연계된 268개의 쏘카존에 약 3,000대의 차량을 배치했다. 대여 가능한 차량을 작년보다 1,000대 정도 늘린 규모다.
전국 주요 공항과 KTX 역사를 포함한 전국 50곳에 편도 허브존을 마련, 쏘카로 목적지까지 이동 후 바로 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쏘카 관계자는 “카셰어링 선호 현상은 여름 휴가철에서 추석으로 바통이 넘겨질 전망”이라며 “전국적으로 장거리 운행이 대폭 늘어나면서 쏘카를 찾는 사용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