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사옥에서 공개토론을 벌인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왼쪽)와 김호창 업스터디 대표. /사진=TV국민일보 캡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와 김호창 업스터디 대표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자녀 입시 비리 의혹과 관련해 공개 토론을 가졌다.
6일 국민일보 보도에 따르면 진 전 교수와 김 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사옥 5층 대회의실에서 '조국 사태인가, 검찰 사태인가'라는 주제로 토론을 벌였다.

이번 토론은 최근 온라인상에서 벌어진 두 사람의 설전에서 촉발됐다. 진 전 교수가 지난달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저와 토론하고 싶은 '문빠'(문재인 대통령 지지자들을 비하하는 단어)들은 이 글 밑에 신청을 해주시고 메시지로 연락처를 남겨달라"라는 글을 게재했다. 이에 김 대표가 공개토론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표명해 두 사람의 만남이 성사됐다.


이날 토론에서 두 사람은 조 전 장관 자녀 입시와 관련한 검찰 수사에 대해 극명한 입장차를 보였다.

포문은 김 대표가 열었다. 김 대표는 조 전 장관의 딸 조민씨의 '고려대 입시 비리' 의혹과 관련해 "공소시효가 지난 사건을 반년 동안 잡아서 단국대 교수까지 불러 조사했다. 입학사정관 불러서 만약 사실로 밝혀지면 취소하겠냐고 묻고, 이걸 다시 언론에 흘렸다"라며 "이건 공소장에도 안 들어간 내용"이라고 꼬집었다. 검찰 수사가 과도했다는 점을 주장한 것이다.

조씨는 지난 2010년 고려대 생명과학대학에 수시 전형으로 지원하며 허위·위조 스펙 3개를 제출한 의혹을 받았다. 위조 과정에 조씨의 어머니이자 조 전 장관의 부인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관여한 것으로 검찰은 판단했다. 그러나 이는 공소시효(7년)가 지나 정 교수의 공소장에 포함되지 않았다.


김 대표는 “봉사 관련 부분은 (입시과정에서) 문서 제출 의무도 없다. 그러니까 사실 조퇴증보다도 더 낮은 문서”라며 “이걸 6개월간 압수수색까지 해서 찾으려고 하는 것이 정상적인가”라고 비판했다.

이에 진 전 교수는 “아무 의미가 없는 문서인데 왜 부지런히 위조를 했나. 조민이 부산대 의전원 넣었을 때 성적사전요인으로 총장 표창장이 들어가 있다”며 “분명 입시 요강에 나와 있는데 아무짝에도 쓸데없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반박했다.

이어 “(표창장에) 인문학 영재 프로그램이라고 적혀있다. 이게 열린 적 없는 프로그램인데 어떻게 가서 봉사를 하고, 하지도 않은 봉사가 표창장이 나가나”라고 주장했다. 이어 “2010년은 정 교수가 동양대에 있지도 않을 때”라고 덧붙였다.

한편 진 전 교수와 김 대표는 90분간 이어진 토론에서 조국 부부의 자녀 입시 비리, 조국 일가를 둘러싼 검찰 수사에 대한 평가, 갈라진 여론과 책임, 조국을 놓아주는 방법 등 크게 4가지 주제로 나눠 갑론을박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