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가맹점이 살아남아야 본사도 산다’는 상생 의지로 87개 가맹본부(소속 가맹점수 84,548개, 3.17 기준)가 ‘착한 프랜차이즈’ 행렬에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 투썸플레이스는 코로나19가 심각단계로 격상된 지난달 말 긴급회의를 통해 가맹점 지원을 위한 25억원 규모의 특별예산을 편성했다. 투썸은 이를 전 가맹점 대상 원재료 구매 금액 지원, 고객과 직원의 안전을 위한 선제적 방역작업 및 위생물품 긴급 지원 등에 투입해 눈길을 끌고 있다.
롯데리아는 가맹점들에 위생용품과 방역비용을 지원하고 휴점 매장을 대상으로 물품 대금 입금을 연기해 주기로 했다. 유가네는 전국 200여 개 가맹점의 2개월분 로열티를 면제한다고 밝혔다. 또한, 전 가맹점 방역작업을 무상으로 지원해 직원과 고객 모두 안심할 수 있는 매장 환경을 유지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메가커피는 전국 835개(2020년2월28일기준) 가맹점에 지원금100만원과 방역물품을 전달하고, 피해가 가장 큰 대구 경북 지역의 가맹점에는 추가로 원두 20kg을 무상으로 지원했다. 이 밖에 메가커피는 비상대책반을 운영하여 각 가맹점의 피해 규모와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방역물품을 추가적으로 지원하는 등 현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다양한 지원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커피베이 (사진=강동완 기자)
대한민국 대표 카페 프랜차이즈 커피베이는 3월 한 달간 물류대금을 인하해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맹점과 고통을 분담하고 이를 시작으로 4월에도 추가 지원책을 강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커피베이는 가맹점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3월 2일 발주분부터 원부자재 물류대금을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35%까지 전격 인하해 지원하고 있다.
반찬가게 프랜차이즈 '오레시피'는 코로나19 로 힘들어하는 가맹점들을 위해서 본사가 전체 비용을 지불하면서 2월, 3월. 4월 집중적으로 광고 및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죠스푸드는 죠스떡볶이 250여개 매장, 바르다김선생 150여개 매장을 대상으로 한 달 동안 전용유을 비롯한 쌀 등 1억원 가량의 식자재를 무상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또 상황이 더 악화될 시 추가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이디야커피' '설빙' '쿠우쿠우' '명륜진사갈비' '교촌치킨' '크린토피아' 등이 각각 다양한 형태로 가맹점 지원에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