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과반이 인력부족에 시달리는 가운데 신입을 채용하더라도 1년 내 퇴사하는 비중이 10명 중 3명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국내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적시에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지 못해 인력운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1년 내 채용한 신입사원 10명 중 3명이 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27일 잡코리아가 직원 수 300명 미만인 국내 중소기업 388개사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고용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 기업의 54.6%가 ‘적시에 직원을 채용하지 못해 현재 인력부족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인력부족을 겪고 있는 직무분야(복수응답) 중에는 ▲생산/현장직이 응답률 31.1%로 가장 많았고 ▲기획/전략(26.4%) ▲영업(24.1%) ▲연구개발(20.3%) ▲IT/정보통신(17.5)% ▲인사/총무(16.0%) ▲마케팅/홍보(14.6%) ▲재무/회계(14.2%) 등이 뒤를 이었다.
중기 인사담당자 10명 중 4명은 이처럼 인력수급이 어려운 원인(복수응답)으로 ‘직원들의 연봉수준이 낮아서(43.0%)’를 꼽았다.
이어 ▲구직자들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37.1%) ▲기업의 낮은 인지도(34.5%) 때문이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다양하지 못한 복지제도(20.1%) ▲열악한 근무환경(16.0%) ▲상대적으로 넓은 업무영역(13.1%) ▲체계적이지 못한 업무시스템(11.9%) 등의 순이었다.
잡코리아가 이들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들에게 최근 1년 이내 신입사원을 채용했는지 질문한 결과 63.1%가 ‘채용했다’고 응답했다. 채용했던 신입사원 중 퇴사한 직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70.2%가 ‘있다’고 응답해 중소기업들의 신입 인력 유지가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이내 퇴사한 신입사원들의 평균 퇴사율은 29.3%로 10명 중 3명 정도의 수준이었다. 신입직 퇴사가 많았던 직무는(복수응답) ‘영업직’이 응답률 38.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판매/서비스직(29.7%) ▲생산/현장직(27.3%) ▲고객상담/TM(24.4%) ▲IT/정보통신직(20.3%) 등의 순ㅇ이었다.
신입사원 퇴사 시기로는 ▲입사 후 3개월 이내가 64.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입사 후 3~6개월 이내(30.2%) ▲입사 후 6개월~1년 이내(5.8%) 순이었다.
인사담당자들은 신입사원 채용 시 기대하는 근무 기간으로 ▲최소 3년 정도는 근무하길 원한다는 응답이 36.0%로 가장 많았다.
이들 신입사원들이 퇴사한 이유로는(복수응답)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가 응답률 40.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연봉이 낮아서(33.1%) ▲실제 업무가 생각했던 것과 달라서(24.4%) ▲회사에 비전이 없다고 생각해서(22.1%) ▲업무 강도가 높아서(18.6%) ▲다른 기업에 취업이 확정되어서(10.5%) 등의 이유가 있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