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건설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인 건설엔지니어링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해 종합 건설엔지니어링업을 신설하고 집중 육성키로 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정부가 종합 건설엔지니어링업을 신설하고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건설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인 건설엔지니어링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함이다.국토교통부는 3일 오전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논의하고 주요 발전방안을 내놨다.
건설엔지니어링은 시공과 연계해 계획·설계부터 운영 관리 등을 포함한 건설 과정 전체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진국은 이미 단순 시공을 넘어 설계, 시공 등 전 과정 통합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 중이다. 반면 국내는 시공 위주에 머물러 통합영역 진출이 미흡한 실정.
이에 국내 건설산업도 시공을 위한 단순설계에 치중하지 않고 전통적 건설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합하는 고부가가치 건설 엔지니어링 중심으로 신속히 전환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기로 방침을 정했다.
발전방안에 따르면 우선 건설 사업 전반을 총괄 관리하는 통합사업관리를 도입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업종으로 건설엔지니어링 업을 신설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건설엔지니어링업의 제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업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산업부와 협의를 거쳐 건설엔지니어링 등록·신고 체계도 간소화하기로 했다.
설계사는 시공 역량을 시공업체는 사업관리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시공 책임형 CM, 기술형 입찰 등 시범사업을 확대 추진하는 내용도 담겼다.
발주 체계도 개편된다. 기술 중심으로 기업과 기술인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능력평가’를 도입한다. 기술인 평가시에는 숙련도와 프로젝트 내 역할 등을 종합 고려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해외수주 지원도 강화된다. 국제개발협력사업(ODA)를 통해 스마트시티·자율주행 도로 등 건설엔지니어링업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시장교섭 등 지원도 확대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인 건설엔지니어링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될 것”이라며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건설엔지니어링 산업 발전에 힘쓰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