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정부가 자율주행 4단계 상용화 지원에 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는 전문인력을 2022년까지 3638명을 공급한다. 공중보건 위기대응을 위해 의료제품 허가심사 기간도 대폭 단축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자율주행 4단계 상용화 집중지원 ▲시스템반도체 핵심인력 양성지원 ▲공중보건 위기대응 제품 중심 신 의료제품 개발 촉진방안 등이 골자다.
완전자율주행(5단계) 직전인 4단계는 운전자 제어 없이 자율주행 가능한 수준으로, 비상시 개입이 필요한 조건부 자율주행(3단계)보다 한층 높은 기술이다. 정부는 라이다 등 센서와 통신기술 등 4단계 핵심기술 84개 과제에 1조1000억원을 투입하고 기존 3단계 자율주행 중요기능 9개 핵심부품의 국산화와 후속 사업화를 지원한다.
자율주행 4단계 이상 성능시험을 위한 가혹환경 재현시설과 지역 테스트베드도 연내 구축 완료한다. 자율주행차 센서 감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도 올해 1200㎞ 규모로 마련한다. 자율주행을 위한 데이터 공유와 시범운행지구 실증사업 등 체감서비스도 추진한다.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전문인력을 올해 1685명, 내년 1953명 배출할 예정이다. 육성 방안 기준으로는 학사급 1120명, 석·박사급 958명, 실무인재 1560명이다. 학사급 인력양성을 위해 대학 13곳에 팹리스 연계형 설계전공트랙을 신설하고 채용연계형 계약학과도 개설한다. 석·박사급 인재는 기업과 정부가 1대 1 매칭을 통해 핵심기술개발·고급인력 양성·채용연계를 함께 추진한다. 반도체 설계교육센터와 설계지원센터 등을 통한 실무인재도 양성한다.
바이오헬스 분야에선 공중보건 위기대응 중심으로 신 의료제품 개발 촉진방안을 마련했다. 부처 간 R&D 기술을 통합 추진하고, 보건위기 대응 제품의 경우 개발단계부터 심사에 착수한다. 허가심사는 현행 180일에서 40일 이내, 출하승인은 90일에서 20일 이내로 단축하도록 제도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국내 제약사 등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 심사와 출하 기간도 줄어들게 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