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4 대책 관련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의 4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서울 5곳, 인천 3곳 등 총 8곳을 선정했다. /사진=뉴시ㅡㅅ
서울 5곳, 인천 3곳 등 총 8곳이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4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추가 선정됐다.국토교통부는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방안'(2·4 대책) 관련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의 4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서울 5곳, 인천 3곳 등 총 8곳을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는 약 1만1600가구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이번 후보지를 포함한 2·4 대책 관련 후보지는 모두 약 22만8400가구 신축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된다. 후보지는 서울 중랑구 및 인천 미추홀·부평구에서 제안한 총 81개 후보지 가운데 도심복합사업 후보지 60곳을 검토해 선정했다.
세부적으로는 서울 중랑구 중화동 중랑역 인근(4만9967㎡), 면목동 사가정역(2만8099㎡), 용마산역(2만1681㎡), 용마터널(1만8904㎡), 상봉터미널(4만3202㎡) 인근 등 서울 5곳과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 제물포역(9만8961㎡), 부평구 십정동 동암역(5만1622㎡), 부평4동 굴포천역 인근(5만9827㎡) 등 인천 3곳, 총 8곳(역세권6, 저층주거2)이다. 이들 구역에서 사업이 추진된다면 약 1만1600가구 주택이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역세권 범위는 서울에서는 역 반경 350m 이내로 정했으나 인천은 도시여건 등을 감안해 500m 이내 지역으로 넓혔다. 이번에 선정되지 않은 나머지 52개 도심복합사업 후보지는 입지요건, 사업성 등을 추가 분석하는 등 사업추진 여부를 지속 검토해나갈 방침이다.
후보지 8곳에 대한 사업효과 분석결과 용도지역 상향 등 도시계획 인센티브를 통해 재개발 등 기존 자력개발 추진 대비 용적률이 평균 76%포인트 오르고, 공급세대도 도시규제완화 및 기반시설 기부채납 완화(15% 이내) 등을 통해 자력개발 대비 구역별 평균 약 396가구(37.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토지주 수익은 공급물량 증가에 따른 사업성 개선을 통해 우선분양가액이 시세대비 평균 69.4% 수준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토지주 수익률도 평균 24.0%포인트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에 발표된 1~3차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에 대한 주민설명회 및 동의서 확보 절차 등 후속조치도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 1~3차 후보지 38곳(4만8500가구) 가운데 12곳(1만9200가구, 발표물량의 39.5%), 특히 1차 발표 후보지 21곳 가운데 10곳이 예정지구지정요건인 10% 주민동의를 확보했다. 은평구 증산4, 수색14구역 2곳은 본지구 지정요건인 3분의2 동의를 초과 확보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후속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배경에 대해 "사업 여건이 매우 열악한 저밀이용지역 및 정비사업 해제 이후 수십 년간 방치돼가는 지역에 공공이 참여해 사업성을 높여주면서 주민선호 민간브랜드 건설도 가능한 구조적 장점 등이 주민들의 높은 호응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김수상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2·4 대책 관련 지역주민들의 높은 호응을 바탕으로 예상보다 많은 물량의 사업 후보지가 빠른 속도로 발굴되고 있다"며 "신속한 사업추진을 통해 조속한 주택공급과 주거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