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는 사용자 맞춤형 금융 자산∙지출 분석 서비스인 '자산관리'를 마이데이터 기반 서비스로 개편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소셜 데이터 접목이다. 카카오페이는 연령에 따른 평균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산비교' 기능을 추가해 사용자들이 본인 자산뿐 아니라 또래의 평균 자산을 비교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개인 맞춤형 금융관리를 위한 다양한 편집 기능도 제공한다. 자주 사용하는 금융상품을 즐겨찾기에 추가하고 민감한 자산은 숨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개인 자산관리 편의성을 높였다고 카카오페이는 설명했다.
더불어 지출 상세내역에서 소비 카테고리를 편집하고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사용자가 직접 소비내역을 정리하고 지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금융자산 영역도 확대됐다. ▲예∙적금 ▲카드 ▲보험 ▲금융투자 ▲대출 ▲전자금융 ▲통신 등 다양한 금융자산을 한눈에 확인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UI∙UX를 직관적으로 구성해 누구나 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 시범 운영 기간 동안 서비스 안정화와 고도화 작업을 거쳐 내년 1월에 정식적으로 선보인다.
카카오페이는 "기존에 1500만명 사용자가 이용했던 서비스인 만큼 그동안 쌓아온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금융자산 분석, 금융정보 맞춤 관리, 상품 추천 등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카카오페이만이 제공할 수 있는 자산관리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금융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점차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