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안드레이 쿨릭 주한 러시아 대사가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는 데 대해 "이런 제재에 동참하는 것이 물론 기쁘지 않다"며 유감을 표했다. 사진은 쿨릭 주한 러시아대사가 이날 서울 중구 러시아대사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 정부 입장 설명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뉴스1
쿨릭 대사는 28일 서울 중구 주한러시아대사관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를 통해 그는 "깊은 유감을 느낀다"며 한국 정부의 대러 제재 동참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쿨릭 대사는 "(양국 수교 이후) 30년 동안 러시아와 한국의 관계는 긍정적으로만 발전해왔는데 협력의 수준이 올라가는 추세가 이제 방향을 바꿀 것 같다"면서 "신북방정책 덕분에 양자관계가 잘 발전해 왔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요즘 벌어지고 있는 선택은 유감스럽다"고 주장했다.
이어 가스·철도·전기 등에서의 남북러 3각 협력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러시아에 대한 제재는 이런 프로젝트에 어떤 도움도 주지 않을 것"이라며 "제재를 하도록 하는 요소가 있다면 한국이 외부로부터 받는 강력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쿨릭 대사는 "이런 압력에 의해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면 양자 발전이 방향을 바꿀 것"이라며 "남북러 협력 프로젝트는 사실 핵 문제 해결, 남북관계, 한반도 평화와 안보 등과 긴밀히 연관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런 생각을 하면 한국이 정말 이 모든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일까에 대한 의심이 든다"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들을 향해 "러시아와의 관계에 상당한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서방국들이 지금 하고 있는 불법 행동에 동참하는 것을 확실히 인식해야 한다"며 "서방의 러시아를 향한 제재 쓰나미가 시작됐는데, 이런 러시아를 겁주려는 시도는 언제나 실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들을 향해 "러시아와의 관계에 상당한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서방국들이 지금 하고 있는 불법 행동에 동참하는 것을 확실히 인식해야 한다"며 "서방의 러시아를 향한 제재 쓰나미가 시작됐는데, 이런 러시아를 겁주려는 시도는 언제나 실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 제재는 가하는 쪽에도 피해를 준다"며 "유엔 헌장에 따르면 경제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주체는 유엔 안보리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쿨릭 대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군사특별작전'이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확장에 따른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는 러시아측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